![청년서포터즈 9기 홍은채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3/art_17614062120852_56962d.jpg) 
【 청년일보 】 최근 몇 년간 우리 사회는 의료인력 불균형이라는 구조적 문제와 마주하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에 의료기관과 인력이 집중되면서, 지방 병원들은 점차 의사와 간호사를 구하지 못해 병동을 축소하거나 폐쇄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 의사 수의 약 51.2%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서울은 인구 1천 명당 활동의사 수가 3.6명으로, 강원·전남 지역(1.7명)의 두 배 이상이다.
이 같은 불균형은 단순한 지역 격차를 넘어 ‘의료 공백’이라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지방 중소도시의 분만실 폐쇄, 응급실 축소, 야간진료 중단이 속출하며, 환자들은 진료를 위해 수십 킬로미터를 이동해야 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응급환자 중 지방 거주자의 평균 이송 시간은 수도권 대비 약 1.8배 길었고, 이로 인한 사망률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문제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수도권 쏠림이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낮은 보수, 열악한 근무 환경, 교육 및 승진 기회의 부족이 꼽힌다. 특히 간호사의 경우, 지방 병원의 이직률은 33.7%로 수도권(19.5%)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근무 부담과 인력 부족이 악순환하는 구조를 만든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과대학 정원 확대, 지역의사제 도입, 공공의료기관 확충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계의 반발과 지역별 인프라 격차로 인해 정책의 실효성에는 여전히 의문이 제기된다. 단순히 의사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의료 인력의 ‘지속 가능한 분배 구조’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의료인력 문제는 단지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근무 환경’과 ‘지역사회 지원체계’의 문제이기도 하다. 지방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진이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숙소, 자녀 교육, 배우자 취업 등 생활 인프라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일본과 프랑스 등에서는 지방 근무 의사에게 주거·교육 지원을 포함한 포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 인력 유치보다 장기적인 정착 효과를 보이고 있다.
결국 의료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기본 서비스다. 지역에 따라 진료받을 권리의 차이가 생긴다면, 이는 단순한 행정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정의의 문제로 이어진다. 의료인력의 수도권 쏠림은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지만, 공공의료의 확충과 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균형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지금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누구나, 어디서나, 필요한 때에 의료를 받을 수 있는 사회’, 그것이 진정한 의료 선진국의 기준이 될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9기 홍은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