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먹는 비만약' 경쟁 가속…체중 감량 효과와 건강 사이의 딜레마

 

【 청년일보 】 체중 관리는 더 이상 개인의 고민에 머물지 않는다. 건강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주사제로 시작된 '위고비(Wegovy)', '마운자로(Mounjaro)' 같은 비만 치료제는 최근 복용이 간편한 먹는 형태로 개발이 확대되며 제약업계의 경쟁을 한층 뜨겁게 만들고 있다.

 

비만 치료제 열풍의 중심에는 'GLP-1'이라는 이름이 있다. GLP-1은 원래 혈당 조절을 돕는 인크레틴 호르몬(GLP-1, Glucagon-Like Peptide-1)을 모방해 만든 약물로,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에서 개발한 '오젬픽(Ozempic)'이 있다. 그런데 임상시험 과정에서 이 약물이 혈당뿐만 아니라 체중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자, 같은 성분을 활용한 비만 치료용 약물 '위고비(Wegovy)'가 등장하게 되었다. 위고비는 임상시험에서 10~15kg의 체중 감량이 확인되며 대중에게 큰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주사제라는 점과 높은 비용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고, 메스꺼움, 구토, 변비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 등 한계도 분명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약사들은 먹는 비만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알약 형태로 복용할 수 있다면 편의성이 높아지고, 비용이나 투여 방식으로 인한 접근성 문제도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노보 노디스크, 일라이 릴리를 비롯해 국내 일동제약, 킵스바이오파마 등 여러 기업이 임상시험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주사제 수준의 효과와 장기적인 지속성이 입증된다면, 먹는 비만 치료제는 비만 관리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비만 치료제의 등장이 긍정적인 효과만을 불러온 것은 아니다. 약 복용을 중단하면 체중이 다시 늘어날 수 있으며, 위장관 부작용 외에도 드물게 췌장염이나 담낭 관련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명인들이 비만약 사용 후 체중 감량 사례를 SNS에 공유하면서, 일부 사람들은 약만 복용하면 손쉽게 살을 뺄 수 있다고 오해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건강보다 외모 중심의 인식을 강화하고, 건강한 체중 감량의 본질을 흐릴 위험이 있다.

 

전문가들은 여전히 식습관 관리,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과 같은 기본적인 생활 습관이 체중 조절의 핵심이라고 강조한다.

 

비만 치료제는 어디까지나 보조 수단일 뿐, 건강한 몸과 생활 습관을 온전히 대신할 수 없다. 최근 비만약이 '다이어트 혁신제'로 주목받고 있지만, 결국 건강을 지키는 책임은 스스로에게 달려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청년서포터즈 9기 김지빈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