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일러 준칙'의 존 테일러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727/art_16886867254396_082c0d.jpg)
【 청년일보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안팎에서 6일(현지시간) 추가 금리인상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인플레이션 고착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 노동시장 과열이 여전하다는 고용지표들이 연이어 발표된 직후라 더욱 주목된다.
물가상승률과 경제성장률을 기반으로 적정 금리수준을 도출하는 '테일러 준칙'을 창시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의 통화정책 전문가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날 미국자본형성위원회(ACCF) 주최 온라인 세미나에서 "지난 두어 해 동안 큰 폭의 (기준금리) 조정이 있었지만, 좀 더 높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테일러 교수는 인플레이션이 시작되고 팬데믹 효과가 약해지는 동안에도 통화정책 결정권자들이 '제로 금리'를 유지했다며 '연준이 행동수칙을 따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전했다.
그는 "연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로 되돌아간다면 경제가 더욱 건전해질 것"이라며 경제 건전성을 더 높이기 위해 연방정부의 재정적자도 더 줄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이날 뉴욕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물가안정과 최대고용이라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목표 달성을 위해 더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건 총재는 "물가상승률이 지속적이고 시기적절하게 목표치로 다시 내려갈 것인지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면서 인플레이션의 지속성이 가장 염려된다고 덧붙였다.
6월 FOMC 정례회의에서 일단 동결에 찬성했던 로건 총재는 "금리를 올리는 게 완전히 적절했을 것"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