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9 (수)

  • 맑음동두천 18.7℃
  • 맑음강릉 26.5℃
  • 맑음서울 21.9℃
  • 맑음대전 19.7℃
  • 구름많음대구 22.4℃
  • 구름많음울산 19.9℃
  • 흐림광주 21.4℃
  • 박무부산 22.0℃
  • 흐림고창 18.0℃
  • 구름많음제주 22.4℃
  • 맑음강화 17.7℃
  • 구름조금보은 17.4℃
  • 구름많음금산 16.0℃
  • 흐림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9.9℃
기상청 제공

초강경 통화정책 주도...미 연준 내 대표 '매파' 불러드 총재 사임

내달 美퍼듀대 경영대학 초대 원장에 취임
향후 미 연준 통화정책 변화에...시장 주목

 

【 청년일보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의 대표적인 매파(통화긴축 선호) 인사인 제임스 불러드 총재가 연준을 떠난다.

 

불러드 총재의 경우 연준 내에서도 공격적인 금리인상을 주장하던 인사였던 만큼, 그의 사임이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은 13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제임스 불러드(62) 총재가 총재직을 사임한 뒤 내달 14일 연은을 완전히 떠난다고 밝혔다.

 

그는 오는 8월15일 퍼듀대 미첼 대니얼스 주니어 경영대학원 초대 원장에 취임할 예정이다.

 

불러드 총재는 "지난 33년간 세인트루이스 연은에 몸담은 것은, 그리고 최근 15년간 총재로 일한 것은 영광이자 특권이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그는 연준이 통화긴축 기조로 전환하기 전인 2021년부터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촉구한 인물이다.

 

아울러 지난해 금리인상이 시작된 후에도 선제적으로 금리를 크게 올려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연준의 지난해 여러 차례의 '자이언트 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인상)을 이끈 인물이다.

 

초강경 통화정책을 주도한 불러드 총재가 금리인상 종료 시점이 가까워져 오는 가운데 물러났다는 점에 투자자들은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연준은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것이 유력하지만, 최근 잇따라 발표된 양호한 물가 지표에 힘입어 시장에서는 이번이 마지막 인상일 가능성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다만 최근까지도 제롬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의 고위직 다수는 연내 2회 추가 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한편, 불러드 총재의 사임에 따라 세인트루이스 연은은 '2인자'인 캐슬린 오닐 파에즈 부총재가 임시 총재 역할을 맡는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