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2.7℃
  • 맑음대전 22.3℃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19.1℃
  • 구름조금광주 22.3℃
  • 구름많음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9.5℃
  • 구름조금제주 22.0℃
  • 맑음강화 19.6℃
  • 맑음보은 19.0℃
  • 구름조금금산 19.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경제, 침체 대신 연착륙"...기대감 부푼 미 금융시장

6월 소비자·생산자 물가지수 안정세...인플레이션 진정 시나리오 확대
미 금융시장 벌써 시나리오 선 반영...S&P·나스닥 등 증시 오름폭 지속

 

【 청년일보 】 현재 미국의 금융시장은 경제가 침체에 빠지지 않고 연착륙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부푼 모습이다.

 

최근 물가상승률이 큰 폭으로 둔화되는 지표가 연이어 나오면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경제를 침체에 빠뜨리지 않고도 인플레이션을 잡을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퍼지고 있는 것이다.

 

1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주 발표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2∼3년 만에 최소 폭으로 상승한 것을 근거로 어느 때보다 인플레이션 진정에 대한 확신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저널에 따르면 미 금융시장에는 이미 이러한 기대가 반영돼 있다.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지난주 2.4% 올라 한 달 만에 가장 큰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고, 연초 대비 상승폭을 17%로 늘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 35% 치솟아 오름폭이 두 배나 된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지난 14일 3.818%에서 마감하면서 일주일 전(4.047%)과 비교해 뚜렷한 진정세를 보였다. 한 주간 하락폭은 3월 이후 최대다.

 

JP모건체이스와 웰스파고 등 대형 은행들이 나란히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를 크게 상회한 어닝 서프라이즈로 2분기 실적 시즌을 출발한 것 역시 '경기침체를 피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뒷받침한다.

 

아울러 경제 전문가들의 시각도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는 모습이다.

 

WSJ은 최근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향후 12개월간 경기침체 확률이 54%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이 확률은 역사적으로 볼 때 여전히 높은 수준이지만 직전 두 차례 조사(61%)보다는 훨씬 개선된 결과다. 전문가들이 보는 경기침체 확률이 7%포인트 낮아진 것은 2020년 8월 이후 최대폭이라고 저널은 보도했다.

 

또한 2분기 미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는 직전 조사 때는 0.2%로 집계됐으나, 이번에는 1.5%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에서는 3분기(-0.3%) 역성장이 예상됐으나, 이번 조사에서 경제학자들은 3분기도 0.6% 성장을 점쳤다. 다만 4분기에는 -0.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학자들은 연준의 기준금리 중간값이 오는 12월 5.4%로 정점을 찍은 뒤 내년부터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하반기 금리인하 시작을 예상한 경제학자는 직전 36.8%에서 이번에는 10.6%로 급감했고, 79%는 내년 상반기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만약 연준이 시장 예상대로 7월로 금리인상을 종료하고 경제가 계속해서 조금씩 성장한다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도 더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보는 투자자와 전문가들이 많다고 WSJ은 전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변수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해 7월 이후에도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수도 있고, 아직 탄탄해 보이는 미국의 경제 건전성이 급속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게다가 금융시장이 이미 향후 호재를 모두 선 반영했다면 추가로 주식과 채권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여지가 적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허틀캘허헌의 투자 책임자 브래드 콩거는 WSJ에 "우리는 모두 허리케인이 올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아직 오지 않았다"면서도 "시장을 더 높은 수준으로 밀어올릴 만한 게 뭐가 더 있을지 모르겠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