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우리나라 1인 가구가 주거비 및 취업난 등에 소비를 줄이면서 전체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내수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3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의 2019∼2023년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은 0.78에서 0.74로 5.8% 감소하며, 모든 가구 유형 중 가장 큰 감소 폭을 나타냈다.
이어 ▲3인 가구(-4.3%) ▲2인 가구(-2.5%) ▲5인 이상 가구(-1.8%) ▲4인 가구(-0.5%) 순으로 소비 위축 정도가 심했다.
1인 가구의 소비 감소 배경에는 다양한 경제적, 구조적 요인이 자리하고 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급격히 상승한 주거비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월세, 수도·광열비와 같은 고정 지출 항목이 지난해 기준 평균 소비의 20%를 넘어가면서, 젊은 층의 1인 가구가 필수 소비 외 지출을 줄일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령층 1인 가구는 코로나19 당시 임시·일용직 일자리의 감소로 인한 '상흔 효과'가 장기화되며, 소비를 위축시키는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했다. 더불어 급등한 생활물가와 경제적 충격을 분담할 가족이 없는 구조적 특성도 소비 성향 약화의 배경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기준 전체 가구의 약 33%가 1인 가구이며, 이들이 차지하는 전체 소비 비중도 약 20%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에서 1인 가구의 소비 감소는 국내 전체 소비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내수 기반 차원에서 1인 가구의 주거·소득·고용 안정이 중요한데, 연령대별로 나눠 정책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고,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고용·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