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글로벌 무역 갈등이 지속될 경우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대 중반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 조사국은 지난해 11월 28일 경제전망에서 글로벌 무역 갈등 격화에 따른 성장 전망 경로상의 리스크를 '시나리오2'로 소개했다.
당시 한은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9%로 전망하며, 미국과 중국 등의 무역 갈등이 심해지면 성장률이 0.2%포인트(p) 더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후 이런 시나리오는 점차 현실이 돼 가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0%,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 25%의 관세를 추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각국이 대응 조치를 예고하고 있다.
문제는 한은의 기존 전망에 이 같은 상황이 충분히 반영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한은은 지난달 16일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 예상했던 1.9%가 아닌 1.6~1.7%로 가정한 사실을 최근 블로그를 통해 공개했다.
한은은 정치 불확실성의 경기 하방효과를 0.2%p 정도로 봤고,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른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경제전망 당시 수준 정도만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의 금리 동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 취임했고, 그는 지난달 말에 중국 등을 상대로 한 추가 관세 부과 의지를 재차 밝혔다.
이에 한은이 오는 25일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5%나 그 아래로 하회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나온다.
한은 관계자는 "아직 11월 경제전망에서 언급한 '시나리오2' 상황에는 이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상황이 매우 유동적인 만큼 이달 25일 경제전망이 어떻게 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