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실물·금융 리스크가 장기화될시 원·달러 환율이 1천500원까지 치솟고, 올해 경제성장률이 1.3%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4일 발표한 '환율 급등 시나리오별 경제적 임팩트 및 대응'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환율은 경제 펀더멘털 약화와 한미 금리역전 등 구조적 요인에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상승압력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환율 급등이 그간 잠재돼 있던 금융리스크와 결합하지 않도록 정부와 기업이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거 탄핵 사례의 경우 국내 경제여건이 양호해 환율이 안정적이었으나, 최근 국내 경제는 내수부진에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및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대내외리스크가 큰 상황"이라면서 "정치적 갈등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에 따라 환율 불안정성과 이로 인한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충격의 강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향후 정치·경제 상황에 따른 2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우선 정치와 경제가 분리돼 정책 대응이 원활하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기 수습될 경우, 대외환경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하반기에 경제가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원/달러 환율은 1천40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할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조기 수습되더라도 한미 금리역전 지속과 트럼프의 관세인상 예고로 연중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SGIS는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올해 환율의 주요 변수로 꼽았다.
보고서는 "미국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자국 물가를 자극해 금리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이 경우 한미 금리 역전 폭이 더욱 확대돼 원/달러 환율은 4% 이상의 상승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치권 갈등이 장기화하는 시나리오도 제시하며 다소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보고서는 "현재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연중 지속된다면 원/달러 환율은 약 5.7% 상승 압력을 받게 되며, 이러한 시나리오 하에서 환율은 1천500원대로 치솟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정치권 갈등 장기화 시나리오가 현실화한다면 투자·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재정 공백 발생, 통화·통상 정책의 효과적 대응 지연 등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주요 전망기관 예측치(한은 1.6∼1.7%, KDI 2%)보다 낮은 1.3%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보고서는 환율 급등에 따른 불안이 실물·금융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 등 정책 패키지 시행, 투자 심리 회복을 위한 법안의 조속한 처리, 취약부문 금융보호망 강화 등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 중 가장 시급한 대책으로는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한 '실물·금융 정책 패키지'를 꼽았다.
보고서는 "한미 통화스와프 재개와 해외 IR 활동을 통해 외환시장을 안정시키는 한편, 금융시장 리스크 확대에 대비한 추가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발표된 채권시장안정펀드와 증시안정펀드 외에도 유동화회사보증(P-CBO) 공급 확대, 저신용등급 포함 회사채·CP 매입기구(SPV) 설치 등의 검토 필요성도 제안했다.
투자 심리 회복을 위한 법안의 조속한 처리도 주문했다.
보고서는 "반도체특별법·전력망특별법 등 기업 투자 관련 법안을 신속히 처리하고, 지역경제 활력 도모를 위한 지역균형투자촉진특별법 제정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양수 SGI 원장은 "환율 급등과 정치적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 변화가 맞물린 현재 상황에서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한 선제적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다양한 대응책들이 실질적으로 실행되고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정치권과 정부, 기업 등이 협력해야 할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