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1.6℃
  • 구름조금강릉 20.8℃
  • 구름많음서울 21.6℃
  • 구름많음대전 25.0℃
  • 구름많음대구 26.8℃
  • 구름많음울산 20.9℃
  • 흐림광주 22.4℃
  • 구름많음부산 17.6℃
  • 흐림고창 20.2℃
  • 흐림제주 23.6℃
  • 구름많음강화 18.6℃
  • 구름많음보은 23.1℃
  • 구름조금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1.4℃
  • 구름많음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18.2℃
기상청 제공

2분기 제조업 매출 감소 전망…"내수부진·대외 불확실성 여전"

대부분 업종 기준선 하회…디스플레이·바이오만 '선방'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불확실성·경쟁력 저하 우려도

 

【 청년일보 】 올해 2분기 국내 제조업의 매출이 전 분기 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실시한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대부분의 지표가 기준선인 100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17일부터 28일까지 1천48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BSI 조사에서 2분기 매출 전망 BSI는 95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88)보다 7포인트 상승한 수치지만, 기준선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했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이보다 높으면 전 분기보다 경기가 개선됐다는 인식이 우세함을, 낮으면 악화됐다는 인식이 우세함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에서 매출 전망을 포함한 대부분 항목의 BSI가 기준치를 밑돌았다. 시황(91), 수출(96), 설비투자(96), 고용(97), 자금 사정(88) 등 주요 지표 모두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업종별로는 디스플레이(111)와 바이오·헬스(101) 산업만이 기준선을 상회했으며, 화학(100)은 기준선에 걸쳤다. 반면, 반도체(91), 자동차(92), 철강(92), 조선(98), 일반기계(96), 섬유(90), 무선통신기기(96), 가전(95) 등 주요 산업들은 여전히 기준선을 밑도는 전망을 보였다.

 

1분기 제조업 매출 현황 BSI는 77로, 전 분기보다 10포인트 하락한 수치였다. 이는 올해 1분기 제조업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했음을 보여준다.

 

병행 실시된 현안 설문조사에 따르면 제조업체들은 경영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 요인으로 ▲내수부진 및 재고 누증(52%) ▲대외 불확실성 지속(43%) ▲고환율 및 생산비 부담 가중(36%) 등을 꼽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2기 행정부가 추진할 가능성이 있는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다. 주요 부정적 영향으로는 ▲주력 품목의 가격 경쟁력 저하(36%) ▲거래비용 증가 및 이익 감소(35%) ▲투자 감소 및 지연(32%) ▲수출시장 경쟁 구도 변화(20%) 등이 언급됐다. 실질적인 영향이 없다고 본 응답자는 20%였다.

 

품목별로는 이차전지 업계에서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감소 및 지연'(58%) 우려가 컸으며, 반도체(44%), 디스플레이(49%), 자동차(45%) 업체들은 '가격 경쟁력 저하'를 가장 큰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묻는 질문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응답이 4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원가 절감 및 구매처 다변화'(31%), '제품 경쟁력 제고 및 기술개발'(25%) 순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답변이 나왔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