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구름많음동두천 19.1℃
  • 맑음강릉 14.3℃
  • 구름많음서울 20.6℃
  • 구름많음대전 20.7℃
  • 구름많음대구 16.1℃
  • 구름많음울산 11.7℃
  • 구름많음광주 19.8℃
  • 구름많음부산 13.2℃
  • 구름많음고창 19.3℃
  • 흐림제주 19.2℃
  • 구름많음강화 17.9℃
  • 구름많음보은 16.5℃
  • 구름많음금산 17.5℃
  • 구름많음강진군 15.6℃
  • 구름많음경주시 12.3℃
  • 맑음거제 12.6℃
기상청 제공

K김, 해외서도 '질주'...미·중 시장서 "급성장"

1분기 수출 '고공행진'…수요 급증에 ‘10억 달러’ 조기 달성 기대
중국 마른김 수출액 140% 늘고 미국 조미김 수출액 30% 증가
2027년 수출 목표액 '연 10억 달러', 올해 조기 달성 가능할 듯

 

【 청년일보 】 대한민국 김 맛에 제대로 사로잡힌 세계인이 늘고 있다. 

 

올해 1분기 김 수출이 물량과 금액 모두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이며 순항 중이다. 특히 중국과 미국의 수요가 크게 늘면서, 정부가 설정한 연간 수출 목표 10억 달러 달성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2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8천100만 달러(약 4천20억원)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1.1% 증가했다.

 

수출량 역시 1만161t으로 1년 전보다 7.5% 늘었다. 이는 2015년 1분기 수출량(1천76t)과 비교하면 10년 사이 844.3%나 급증한 수치다.

 

국가별 수출 실적을 보면 미국이 5천790만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중국(5천110만 달러), 일본(3천440만 달러), 태국(3천420만 달러) 순이었다.

 

이 중에서도 중국은 전년 대비 86.5%라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미국은 21.6%, 태국은 15.9%, 일본은 7.2% 각각 늘었다.

 

해양수산부는 한류와 연계한 K-브랜드 확산 사업 및 미국·중국 대상 맞춤형 전략이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는 김의 해외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현지 온라인 유통망과 한국 수산식품 전용관 등을 활용한 홍보·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미국과 중국 등 김 수요가 큰 국가에 역점을 둔 'K GIM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김 수출액은 9억9천700만 달러였는데, 1분기 수출액이 크게 늘면서 해수부가 오는 2027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연 10억 달러'를 올해 앞당겨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해수부 관계자는 "작년에는 김 수출 물량 대비 금액이 많이 늘었지만, 올해에는 물량과 금액이 함께 늘고 있어 10억 달러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