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7/art_17453654997001_7daf5e.jpg)
【 청년일보 】 지난해 한국 경제가 수출에만 의존한 채 간신히 버틴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였지만, 내수 기여도는 고작 0.1%포인트(p)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내수 기여도는 0.1%p에 그쳤다.
분기별로 1분기 0.5%p, 2분기 -0.1%p, 3분기 0.8%p, 4분기 -0.2%p로 등락을 반복했는데, 4분기에는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경제 심리 위축이 직격탄이 됐다.
반면, 같은 해 수출은 국내 GDP 성장률의 대부분을 책임졌다.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1.9%p였다. 구체적으로 수출이 2.9%p 상승을 견인했고 수입은 -1.0%p로 집계됐다.
이는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며, 프랑스(0.9%p), 이탈리아(0.4%p), 스페인(0.3%p) 등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OECD 통계에 따르면 내수 기여도가 공개된 10개국의 평균은 1.6%p였다. 인도네시아(5.5%p), 스페인(2.8%p), 영국(2.4%p), 스위스(1.7%p), 캐나다(1.5%p) 등과 비교하면 한국은 극단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내수가 제 기능을 못한 상황에서 수출이 유일한 버팀목 역할을 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무역 긴장과 관세 갈등 심화로 수출마저 흔들릴 경우, 한국 경제가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7일 기자간담회에서 “1분기 대규모 산불과 정치 불확실성, 미국의 관세 인상 등 복합 요인으로 기존 전망보다 더 나빠질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임 의원은 “위법한 계엄 사태 이후 내수가 빠르게 위축되며 글로벌 기준으로도 최악 수준”이라며 “정부가 이를 안이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은 산불 복구와 내수 회복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과감한 재정 지출로 경기 부양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