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 거리.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417/art_17453927498278_c8527b.png)
【 청년일보 】 우리나라 국민들의 기대수명 증가가 민간소비 성향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래 사는 만큼 노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이에 따라 소비보다는 저축에 무게를 두는 경향이 뚜렷해졌다는 설명이다.
23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77.8세에서 84.3세로 6.5세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평균소비성향은 52.1%에서 48.5%로 3.6%포인트(p) 하락했다.
KDI는 이 가운데 기대수명 증가만으로도 평균소비성향이 3.1%p 하락한 것으로 추정했다. 기대수명이 1년 늘어날 때마다 소비성향이 약 0.48%p 떨어진다는 계산이다.
보고서는 "소비성향 하락은 퇴직 이후 길어진 생애에 대비한 저축 동기 강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퇴직 연령은 큰 변화가 없지만, 기대수명은 증가하면서 고령층이 소득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생계를 이어가야 하는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로 인해 민간소비의 증가세가 경제성장률을 지속적으로 밑도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경제 전반의 성장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도 점차 변할 가능성이 있다. 보고서는 "앞으로 기대수명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자산을 축적한 초고령층(75세 이상)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소비 여력이 커질 수 있다"며 "이에 따라 2030년대 중반부터는 소비성향이 다시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한편, KDI는 소비성향 하락의 배경에는 단지 인구학적 변화만이 아니라, 노동시장 구조의 문제도 함께 자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공서열 중심의 경직된 임금체계와 정년 이후 고령층 일자리 부족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를 강화하고, 정년퇴직 이후 재고용 제도를 활성화하는 등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소비 여력을 끌어올리고, 경제 전반의 활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