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8.6℃
  • 맑음강릉 17.9℃
  • 맑음서울 16.9℃
  • 맑음대전 18.8℃
  • 맑음대구 20.0℃
  • 맑음울산 18.8℃
  • 맑음광주 17.8℃
  • 맑음부산 18.0℃
  • 맑음고창 15.5℃
  • 맑음제주 18.8℃
  • 맑음강화 15.5℃
  • 맑음보은 17.0℃
  • 맑음금산 18.0℃
  • 맑음강진군 18.9℃
  • 맑음경주시 21.0℃
  • 맑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관세전쟁 본격화…中→美 컨테이너 물량 3분의 1 "급감"

무역 불확실성에 소비·물류 전반 충격…하반기 물동량 최대 20% 감소 우려

 

【 청년일보 】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속에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이 본격적으로 위축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의 여파로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물량이 3분의 1가량 줄어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이 1%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독일의 해운사 하팍로이드(Hapag-Lloyd)의 발표를 인용해, 최근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 예약량이 약 3분의 1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닐스 하우프트 하팍로이드 대변인 "중국발 화물 예약이 대거 취소되거나 보류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태국,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수출 예약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는 운송 수요 예측이 극도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선사들은 더 작은 선박으로 노선을 대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영국 해운컨설팅업체 드류리(Drewry)는 이러한 흐름이 계속될 경우 올해 한 해 동안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 물동량이 전년 대비 1%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드물게 발생하는 하락세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79년 이후 단 두 차례만 기록됐다.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는 8.4%,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는 0.9%의 감소를 기록한 바 있다.

 

만약 올해 예상대로 1% 감소가 현실화된다면, 이는 팬데믹 당시보다 더 큰 무역 위축이 발생하는 셈이다.

 

현재 미국은 대부분의 국가에 대해 10%의 일괄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산 제품에는 평균 145%에 달하는 초고율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맞서 중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들도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관세를 시행 중이다.

 

드류리는 자사 보고서에서 "현재 고율 관세의 3분의 2가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미국의 중국산 수입품은 최대 40%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미국 수입업체들이 수입선을 관세가 덜한 국가로 다변화할 경우 이로 인한 물동량 감소는 일정 부분 상쇄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로 중국 외 국가에서 미국으로의 수입량은 최대 15%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재와 가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은 여전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태다. 최근 미국이 중국산 가구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자, 버크셔 해서웨이 산하 가구 유통업체 RC윌리는 중국과의 거래를 전면 중단하고 대체 공급처로 베트남을 선택했다. 하지만 미국이 베트남에도 4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이마저도 보류되었다. 이후 베트남에 대한 관세가 90일 유예된 뒤에야 다시 주문이 재개됐다.

 

제프 차일드 RC윌리 대표는 "가장 큰 문제는 불확실성"이라며 "소비자 신뢰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전미소매업연맹(NRF)은 이달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하반기 미국의 컨테이너 수입 물동량이 전년 대비 최소 20% 감소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을 내놨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