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열고닫기 월간 서베이 결과 이미지. [사진=도도한콜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0/art_17470320808957_dd1602.png)
【 청년일보 】 청년 맞춤형 정책 플랫폼 '열고닫기'를 운영하는 도도한콜라보는 사단법인 금융과행복네트워크와 청년 금융생활에 대한 실태를 다룬 '청년 금융역량과 금융행복도' 공동 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21일부터 31일까지 10일간, 열고닫기 플랫폼 이용자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청년들의 금융역량(금융지식, 금융태도, 금융행동)이 실제 금융행복도(금융안전감, 금융만족감, 금융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첫 연구로, 실효성 있는 정책적 대응 방향이 도출됐다.
분석에 따르면, 청년의 금융역량 평균은 63.67점(100점 환산 기준)으로, 이 중 금융지식은 71.17점으로 가장 높았고, 금융행동은 46.7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청년들이 금융 지식은 어느정도 갖추고 있지만, 실제 행동으로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식과 실제 행동 사이에 명확한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특히 장기 재무계획 수립, 지출 기록 유지와 같은 일상 기반의 재무 실천 능력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에 따르면, 청년들의 금융지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 반면, 실천적 금융행동 역량은 가장 낮아 지식과 실제 행동 사이에 명확한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기 재무계획 수립, 지출 기록 유지와 같은 일상 기반의 재무 실천 능력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역량과 금융행복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금융지식은 행복도에 약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금융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감, 만족감, 안전감 등 금융행복도 전반이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지식 전달 중심의 금융교육을 넘어, 청년들이 실제로 금융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교육 및 정책 설계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확인됐는데, 월 소득 300만원 이상인 청년은 그렇지 않은 청년에 비해 전반적인 금융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청년의 재정적 불안정성이 주관적인 금융 안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열고닫기와 금융과행복네트워크는 ▲지식 전달을 넘어 행동과 습관을 유도하는 금융교육 및 멘토링 프로그램 강화 ▲청년들의 불안정한 수지 구조와 미래에 대한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자산지원형성과 제도적 금융 안전망 구축 ▲저소득층 등 취약 청년의 상대적 박탈감과 재정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금융복지 지원 등 종합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원규희 열고닫기 대표는 "청년 세대에게는 단순한 금융 지식 전달을 넘어, 실제 생활에서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역량과 구조적 지원이 절실하다"면서 "이제는 '무엇을 아는가'보다 '어떻게 실천하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춘 정책 설계와 교육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운영 금융과행복네트워크 이사장은 "오늘날 금융은 단지 수단이 아니라 삶의 기반으로 복잡한 금융이 아니라, 모두의 일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기본 금융'이 필요하다"면서 "청년의 금융 역량이 실질적인 자산 형성과 삶의 질로 이어지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