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출을 위한 공식 선거운동 이틀째인 13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사진 왼쪽부터)가 대구광역시 동성로 거리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울산 남구 신정시장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대구 경북대학교에서 집중 유세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0/art_17471805209544_521b38.jpg)
【 청년일보 】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주요 대선 후보가 나란히 ‘가상자산’ 공약을 전면에 내세우며 청년과 중산층 표심 공략에 나섰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김문수 후보는 나란히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허용하겠다고 공약했다.
비트코인 등 주요 가상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를 국내 증시에 상장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해 관련 투자를 더욱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후보는 지난 6일 페이스북에서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겠다"며 그 일환으로 가상자산 현물 ETF를 도입하고, 통합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가상자산 거래 수수료 인하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10대 공약 중 다섯 번째로 '중산층 자산 증식 프로젝트'를 제시하면서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을 포함했다.
그는 당내 경선 때였던 지난달 27일 "정부 기관들의 가상자산 투자를 허용하겠다"며 현물 ETF 허용을 함께 언급한 바 있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위험이 금융 시스템으로 전이될 우려가 있다며 가상자산 현물 ETF에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현물 ETF를 도입하려면 금융사가 가상자산을 보유해야 하는데, 이를 허용할 경우 가상자산의 변동성이 금융시장 안정성과 금융사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하지만 올해 3월 당정이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가상자산 현물 ETF 도입을 검토하기로 했고, 양당 후보도 모두 현물 ETF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관련 정책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물 ETF가 도입되면 투자자는 별도의 가상자산 지갑이나 거래소 가입 없이 증권계좌만으로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돼 투자 편의가 높아질 전망이다.
대선 후보들은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 외에도 다각도의 산업 진흥 방안을 준비 중이다.
민주당은 당 선거대책위원회 산하에 디지털자산위원회를 설치하고, 전날 첫 회의를 열어 본격적인 실무 논의에 돌입했다.
이 위원회는 앞으로 스테이블코인, 대체불가토큰(NFT), 토큰 증권(STO)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범위의 가상자산 관련 제도 정비 방향을 다룰 예정이다.
디지털자산위원장을 맡은 민병덕 의원은 회의에서 "이용자 보호와 산업 육성이 조화를 이루는 디지털자산기본법 제정을 추진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지난달 28일 비상대책위원회 차원에서 가상자산 7대 공약을 발표했다.
7대 공약에는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을 비롯해 ▲1거래소 1은행 원칙 폐기 ▲기업과 기관의 가상자산 거래 제도화 ▲STO 법제화 ▲스테이블코인 규율 체계 마련 ▲디지털자산육성기본법 제정 ▲획기적인 과세 체계 도입 등의 방안이 담겼다.
한편,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놓고는 대선 후보들 간에 이견이 노출됐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 8일 경제 유튜버들과의 대담에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만들어놔야 국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국내용 스테이블 코인을 아무런 전략 없이 만들자는 말은 현실 인식의 부재"라고 지적했다.
이와 별도로, 이준석 후보는 지난달 18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비트코인을 국가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되 비중을 너무 높이지 말고 ETF 등의 형태로 보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