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美 폭격 대응"…이란 의회, 호르무즈 해협 봉쇄 의결

에스마일 쿠사리 국가안보위원장 "최종 결정은 최고국가안보회의서 내릴 사안"

 

【 청년일보 】 이란 의회가 자국 핵시설에 대한 미국의 폭격에 대응해 세계 에너지 수송의 핵심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를 의결했다.

 

이란 국영 프레스TV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이란 의회(마즐리스)는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를 결의했다. 이는 미국의 폭격에 대한 대응 조치다.

 

에스마일 쿠사리 국가안보위원장은 "최종 결정은 최고국가안보회의(SNSC)에서 내릴 사안"이라고 밝혔다.

 

호르무즈 해협은 페르시아만과 아라비아해를 잇는 좁은 해협으로, 폭이 가장 좁은 지점은 약 33㎞에 불과하다. 전 세계 원유 소비량의 약 25%, 액화천연가스(LNG) 소비량의 약 20%가 이곳을 통과하는 만큼, 실제 봉쇄가 이뤄질 경우 에너지 시장에 미칠 충격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해협을 통과하는 대형 유조선 대부분이 이란 영해를 지나야 하며, 이란은 이를 근거로 사실상 해협의 통제권을 행사해왔다. 이에 따라 해협 봉쇄는 단순한 위협이 아닌 실질적인 통제 수단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때 호르무즈 해협에서 상대방 유조선과 상선에 대한 공격과 기뢰 설치 등으로 이곳의 통항이 위협받았던 적이 있지만 이란이 이를 전면 봉쇄한 적은 없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