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오션 거제사업장 전경. [사진=한화오션]](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31/art_17537466572088_c25ae8.jpg)
【 청년일보 】 국내 조선업계가 지난 상반기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이하 연구소)가 발간한 '해운·조선업 202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 전망' 등에 따르면 지난 1∼6월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25.1%(표준선 환산톤수 기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7.2%) 대비 8%포인트가량 상승한 것으로, 점유율 1위 중국과의 격차는 51.0%포인트에서 26.7%포인트로 좁혀졌다.
지난해 한국의 수주 점유율은 연간 기준 15.0%로 8년 만에 10%대를 기록했는데, 올해 반등의 모멘텀을 찾은 것이다.
이러한 점유율 반등은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컨테이너선 건조 수요가 중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중국 해운사와 중국산 선박을 운영하는 해운사 등에 미국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한국이 반사이익을 누렸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반기 국내 수주량(487만CGT)의 53.3%가 컨테이너선으로 집계됐다. 반면 지난해 상반기 수주한 중대형 컨테이너선은 2척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미국 무역대표부의 대중국 해사산업 제재로 일부 대형 컨테이너선 등이 발주처를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환하며 한국의 점유율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글로벌 불확실성 여파로 업황이 부진한 만큼 현 상황에 안주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1∼6월 글로벌 발주량은 1천939만CGT로 지난해보다 54.5% 감소했다. 특히 국내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선 발주량은 82.9% 감소한 105만CGT에 그쳤다.
점유율이 상승한 한국도 수주량 자체는 487만CGT로 전년 대비 3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주액은 31.8% 감소한 161억4천만달러다.
보고서는 "2021년 이후 처음으로 상반기 발주량이 건조량에 미치지 못했다"면서 "미국 관세 문제 등의 통상 마찰이 세계 경제와 교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신조선 발주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했다.
또한 "하반기에도 선주들이 적극 투자보다는 관망하는 경향이 더 강할 것"이라면서 "올해 총 세계 발주량은 전년 대비 약 46% 감소한 4천만CGT 내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국내 조선업계가 대중 제재 반사이익을 토대로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도 제언했다.
보고서는 "점유율 회복은 미중간 대립 구도에서 얻은 어부지리에 불과하다"면서 "약간의 시간을 번 정도의 기회로 여기고 중국과의 품질 격차를 벌리는 노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선사들의 재무적 여력이 아직 크지 않고 조선산업의 국가 안보 차원 가치가 부각되는 점 등을 고려하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