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2/art_17604806938475_02b601.jpg)
【 청년일보 】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가 올해 안에 1.25%포인트(p)까지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미국이 금리 인하 사이클을 지속하는 가운데 한국이 부동산 대책 효과 확인 등을 위해 당분간 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경우 내외 금리차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이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뉴욕사무소는 지난 13일 보고서에서 "투자은행들은 대체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연내 2회 추가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미국 기준금리는 현재 연 4.00∼4.25% 수준이다. 금융권 전망대로 연준이 연내 2회 총 0.50%p를 추가 인하하면 3.50∼3.75%가 된다.
보고서는 또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보다 노동 시장 악화 우려가 더욱 부각됐다"며 "(투자은행들이) 내년 3분기까지 2∼3회 추가 인하 가능성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내년 9월 말에는 현재보다 최대 1.25%p 낮은 2.75∼3.00%까지 미국 기준금리가 비교적 가파르게 떨어질 수 있다고 보는 셈이다.
투자은행별로는 모건스탠리, 노무라, TD 등이 올해 2회, 내년 3회 금리 인하를, 바클리, 씨티, 골드만삭스, 웰스파고 등이 올해와 내년 각 2회 금리 인하를 점쳤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올해 1회, 내년 3회를, JP모건은 올해 2회, 내년 1회를, 도이치뱅크는 올해 2회를 각각 예상했다.
각 투자은행 전망은 모두 한 번에 0.25%p 수준의 점진적 인하를 전제로 했으며 '빅컷'(0.50%p 인하)은 가정하지 않았다.
반면, 시장에서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내 추가 이하 없이 2.50%로 묶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점차 고개를 들고 있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 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위에서 내려오지 못하는 등 금융안정 불확실성까지 겹친 점을 고려한 분석이다.
안재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전날 보고서에서 "10월 기준금리 2.50% 동결과 당분간 동결 기조 전개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런 기조가 최소 내년 1분기까지 유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특히 "부동산 대책 효과 확인까지는 최소 1∼2개월의 시간이 필요해 오는 11월 금통위는 다소 촉박하다"며 "외환시장이 안정을 찾아도 부동산 경기 대응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연내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을 크게 본다"고 말했다.
앞서 우리금융경영연구소도 오는 10월 전망 보고서에서 "한은은 수도권 주택 가격과 관련한 금융안정 필요성을 고려해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건설과 수출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기업 대출 연체율은 높아지고 있어 통화 완화 기조는 유지할 전망"이라고 부연했다.
만일 미국이 연내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하고 한국이 동결하면 양국 금리 격차는 현재 1.75%p에서 연말 1.25%p로 축소된다.
지난 2023년 2월 1.25%p에서 3월 1.50%p로 금리 격차가 확대된 후 2년 9개월 만(올해 연말 기준)에 격차가 최소로 줄어드는 셈이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