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소득 줄고 주택 매입 늘었다"…가계 여윳돈 40조원 '급감'

1분기 92.9조원→2분기 51.3조원…지난해 이후 최대 감소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89.7%에 달해…8분기 만에 "반등"

 

【 청년일보 】 가계의 여윳돈이 석 달 만에 40조원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감소와 함께 주택 등 실물자산 구매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한은)이 16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와 비영리단체의 순자금 운용액은 51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분기(92조9천억원)보다 41조6천억원 줄어든 수준으로, 지난해 2분기(-45조6천억원)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순자금 운용액은 경제 주체가 일정 기간 동안 조달한 자금과 운용한 자금의 차이를 의미한다. 통상 가계는 잉여 자금을 예금이나 투자 형태로 운용하며, 정부나 기업의 자금 조달원 역할을 해왔다.

 

김용현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1분기의 상여금 효과가 사라지면서 가계소득이 감소했고, 아파트 등 실물자산 투자가 확대돼 여유 자금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가계의 자금 운용 규모(조달액 제외)는 2분기 76조9천억원으로, 1분기(101조2천억원)보다 25조원가량 감소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금융기관 예치금이 15조2천억원,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가 11조4천억원 각각 줄었다.

 

가계의 자금 조달 규모는 2분기 25조6천억원으로, 1분기(8조2천억원)보다 세 배 이상 증가했다. 금융기관 차입이 9조2천억원에서 29조원으로 급증하면서 부채 부담이 커졌다.

 

이에 따라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89.7%로 상승, 1분기(89.4%) 대비 0.3%포인트 올랐다. 해당 지표가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2023년 2분기 이후 8분기 만이다.

 

김 팀장은 "3분기에는 가계부채 증가 폭이 관리됐고 GDP 성장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돼 2분기 비율 상승은 일시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가계뿐 아니라 기업과 정부의 자금 흐름도 변화가 나타났다.

 

비금융 법인기업의 순자금 조달 규모는 3조5천억원으로, 1분기(18조7천억원)보다 15조2천억원 줄었다.

 

일반 정부의 순자금 조달도 40조2천억원에서 2조7천억원으로 급감했다. 이는 국채 발행이 줄고 차입금 상환이 이뤄지면서 자금 조달 규모가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