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9월까지 K-푸드의 글로벌 인기가 이어지며 같은 기간 수출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라면과 김이 대표 효자 품목으로 부상했고, 미국·중국·일본이 주요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9월 한국 식품 수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8.9% 늘어난 84억8천만달러(약 11조8천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K-푸드 수출은 지난 2016년(60억6천만달러) 이후 9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품목별로는 전체의 61.3%를 차지하는 가공식품 수출이 52억달러(6.7%↑)로 가장 많았다. 수산물(23억3천만달러, 11.2%↑), 축산물(2억8천만달러, 50.3%↑), 농산물(6억6천만달러, 5.6%↑), 임산물(2천만달러, 24.6%↑) 등도 모두 늘었다.
세부 품목 가운데서는 라면(11억3천만달러, 24.5%↑)과 김(8억8천만달러, 14.0%↑)이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두 품목의 수출액은 약 20억달러로 전체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이밖에 과자류(5억7천만달러, 2.0%↑), 커피조제품(2억8천만달러, 15.8%↑), 소스류(3억1천만달러, 7.2%↑), 음료류(5억2천만달러, 2.6%↑) 등도 꾸준히 성장하며 K-푸드 수출 기반을 넓히고 있다.
국가별로는 미국(16억달러, 18.9%), 중국(15억달러, 17.7%), 일본(11억6천만달러, 13.7%)이 전체의 절반가량(50.2%)을 차지했다. 수출 증가율도 각각 미국 13.1%, 중국 12.5%, 일본 6.7%로 모두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상위 10개 수출국 가운데 9개국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으로, 한국을 제외한 APEC 20개 회원국으로의 수출 비중은 전체의 81.5%에 달했다.
관세청은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과 2025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K-푸드에 관심과 브랜드 인지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K-푸드 수출 기업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