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3분기(7~9월) 전국 무역항 물동량이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 속에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입 물동량이 전년 수준을 유지했지만, 연안 물동량과 비(非)컨테이너 화물 감소가 전체 감소로 이어졌다.
30일 해양수산부(해수부)에 따르면 3분기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전체 화물은 3억9천28만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줄었다. 이 가운데 수출입 물동량은 3억3천668만t으로 전년과 동일했으나, 연안 물동량은 7.4% 줄어든 5천360만t에 그쳤다.
컨테이너 물동량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3분기 총 790만TEU로 0.7% 늘었으며, 수출입 물동량은 438만TEU로 0.8% 증가했다. 국가별로 수출은 미국향이 5.8% 감소했지만 중국향은 7.0% 늘어 전체적으로 1.8% 증가한 221만TEU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은 0.3% 줄어든 217만TEU였다. 환적 화물은 347만TEU로 0.6% 증가했다.
항만별로는 부산항이 609만TEU를 처리하며 0.8% 증가했다. 다만 증가율은 2분기(3.1%)보다 둔화했는데, 해수부는 "미국 관세 정책 강화에 대비한 조기 선적 영향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인천항은 중고차 컨테이너 수출 증가 덕에 87만3천TEU로 0.9% 늘었다. 수출입 물동량도 중국 중심의 증가세에 힘입어 1.0% 확대된 86만TEU였으며, 환적은 5.5% 감소했다. 반면 광양항은 50만TEU를 처리해 1.5% 줄었지만, 수출입만 보면 6.1% 증가했다.
비컨테이너 화물은 광양항과 울산항 부진 속에 전체적으로 1.5% 감소한 2억5,332만t을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유류(+0.7%), 자동차(+1.8%), 유연탄(+6.3%)이 늘었지만, 광석(-10.3%), 철강(-14.4%)이 큰 폭으로 줄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아직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3분기에도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둔화하고 있어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