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9.6℃
  • 구름많음강릉 10.9℃
  • 연무서울 10.4℃
  • 구름조금대전 7.2℃
  • 흐림대구 7.1℃
  • 흐림울산 9.3℃
  • 구름조금광주 8.2℃
  • 흐림부산 11.8℃
  • 맑음고창 11.2℃
  • 구름많음제주 15.3℃
  • 맑음강화 10.5℃
  • 구름많음보은 3.4℃
  • 맑음금산 4.6℃
  • 구름조금강진군 7.3℃
  • 구름많음경주시 6.3℃
  • 구름많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한은, 내년 성장률 전망 상향 유력…경제 전문가 "1.8~1.9% 예상"

전문가들 “기저효과·관세 변수로 체감경기는 제한적”

 

【 청년일보 】 한국은행이 오는 27일 발표할 수정 경제전망에서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기존 1.6%에서 1.8~1.9%로 상향 조정할 것이란 관측이 확산되고 있다.


24일 연합뉴스가 주요 경제 전문가 6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0.9%에서 1.0%로 소폭 상향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수출이 미국 관세 우려에도 견조한 흐름을 유지하고, 소비쿠폰 효과 등으로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며 성장 전망을 끌어올렸다고 분석했다. 3분기 성장률이 1.2%를 기록하며 연간 1.0% 달성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상향 조정의 배경으로 지목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1.0%, 내년 1.9%를 전망하며 "수출이 미국 관세 영향을 잘 버티고 있고, 소비쿠폰 효과 등으로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경기가 예상보다 나빠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1.0%, 내년 1.8%를 제시했다.


내년 전망치가 1.8~1.9%로 조정될 경우 정부와 KDI, IMF 전망과 비슷한 수준이며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평균 예상치(1.9%)와도 대체로 부합한다. 다만 한국금융연구원(2.1%), OECD(2.2%)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성장률 개선의 상당 부분이 ‘낮은 기저효과’ 덕분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미국 관세 부과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데다, 건설투자 부진과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등 대외 리스크가 실질 경기 흐름을 제약할 것이라는 경고도 나왔다.


물가 전망에 대해서는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과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를 반영해 한은이 올해 2.0%, 내년 1.9%의 기존 전망치를 소폭 상향할 것이란 의견이 우세했다.


일부 전문가는 원화 약세가 수입물가를 자극해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큰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내년 환율이 안정세로 돌아설 경우 물가 상승률은 다시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년 환율이 현 수준보다 내리면서 하향 안정화되고 미국 금리 인하 등이 겹치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올해 2.0%보다 낮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