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건보 강화시 60년 후 보험료율 6.6% 인상 전망"

보험硏,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 발표

<보험연구원>

국민건강보험 강화 정책이 시행되면 60년 후에는 보험료율이 지금보다 6.6%포인트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보험연구원은 18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를 통해 "건강보험 보장률 70% 안을 시행하면 보험료율은 즉시 현재보다 0.7%포인트 상승하고 60년 후에는 6.6%포인트 오른다"고 밝혔다.

정부는 미용과 성형을 제외한 모든 의료비에 건강보험을 적용해 2022년까지 보장률을 70%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임태준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장성 강화 정책은 과도한 의료비 부담 등 사회·경제적 문제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보험료율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근로자의 노동 유인을 저해시켜 경제적 비효율을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를 보면 인구 고령화로 늘어나는 총의료비가 건강보험의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한다.

보장률 70% 안에 따라 건강보험 총지출은 즉시 10.8% 늘어난다. 고령화에 증가 폭이 점차 확대돼 60년 후에는 현재 대비 53.7% 높은 수준에 도달한다.

이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감안하지 않은 수치로, 인구 고령화를 고려하면 의료비가 늘어 국민건강보험의 총지출이 더 증가할 수밖에 없다.

가계의 저축 유인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의료비 지출 차감 후 가처분소득의 불확실성이 줄고 결국 국내 총저축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다고 해석했다. 국내 총자본은 고령화 대비 저축 효과로 15년 동안 증가세를 보이다가 이후 하락할 것으로 추정했다.

임 연구위원은 "보장성 강화 정책 실행 초기에는 총노동과 총자본의 증가로 국내 총생산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면서도 "3년이 지난 이후부터는 지속해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