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2 (일)

  • 흐림동두천 25.4℃
  • 흐림강릉 27.3℃
  • 흐림서울 27.2℃
  • 대전 24.8℃
  • 대구 26.7℃
  • 흐림울산 29.3℃
  • 광주 26.3℃
  • 흐림부산 29.7℃
  • 흐림고창 26.9℃
  • 제주 27.1℃
  • 흐림강화 26.4℃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5.2℃
  • 흐림강진군 25.7℃
  • 흐림경주시 27.9℃
  • 흐림거제 29.0℃
기상청 제공

“헬스케어‧IT, 유가증권시장서 급부상…산업재·유틸리티 급락”

전경련 “10년간 헬스케어 기업 2개→12개, IT기업 8개→15개로 증가”
“시총 성장률 헬스케어 3.2조→117.9조, IT 203.3조→592.1조로 늘어”
“바이오·제약산업 등 미래 성장 동력 확충 위한 산업정책 마련 시급”

 

【 청년일보 】최근 10년간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건강관리(헬스케어)와 정보기술(IT) 분야 기업들이 급부상하는 반면, 조선·건설 등 전통적인 주력산업의 비중은 크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미래 성장 동력이 주목되는 바이오‧제약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가 과감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00년 말과 2010년 말, 2020년 3분기 말의 코스피 상장 시가총액 상위 100대 비금융사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연도별 시가총액 100대 기업을 업종별로 나눠 비교하니 2010년 대비 올해 가장 큰 폭으로 기업 수가 증가한 업종은 헬스케어(2개→12개)였다. IT(8개→15개)도 뒤를 이었다.

 

반면 산업재(34개→23개)와 소재(21개→15개) 기업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건강관리와 IT 기업들의 시가총액도 크게 증가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으로 업종별 시총 합계는 IT(592조원), 자유 소비재(160조원), 건강관리(118조원), 소재(114조원) 순으로 많았다.

 

특히 건강관리는 올해 3분기 시가총액이 2010년 말 대비 36.8배 증가해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IT 시총도 2010년 말 대비 2.9배 늘었다. IT는 시총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제외해도 시총 합계가 245조원에 달했다.

 

반면 산업재는 상위 100대에 포함된 기업 수가 23개로 가장 많았지만, 시총은 2010년 말(162조원)의 절반도 안 되는 65조원에 그쳐 9개 업종 중 5위에 머물렀다.

 

또, 내수 의존도가 높은 공기업 중심의 유틸리티는 기업 수도 2개로 가장 적고, 시가총액(15.4조원)도 2000년과 2010년 말과 비교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국내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을 한 건강관리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걸음마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전 세계 건강관리 업종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에서 한국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51위)와 셀트리온(65위) 등 2개사였다.

 

미국 기업이 존슨앤드존슨, 머크, 화이자 등 51개사로 가장 많았고, 중국은 항서제약, 마인드레이 등 15개사가 순위에 올랐다. 일본도 추가이, 다이이찌산쿄 등 11개사가 포함됐다.

 

건강관리 업종 시가총액 합계도 미국(4천625조원)은 우리나라(80조원)의 58배에 달했다. 중국(555조원)은 7배, 일본(495조원)은 6배 수준이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 매출액을 비교하면 미국 51개사는 한국 2개사 대비 705배의 매출액을 달성했고, 중국과 일본은 각 11배, 9배 많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조선·중공업 등 과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주도했던 산업의 비중이 줄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 제조업과 서비스업 중심으로 경제구조가 재편되고 있다”면서 “산업 변화에 따른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코로나19를 계기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커진 가운데, 많은 국가들이 바이오·제약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해오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후발주자이지만, 세계적인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성장 기대감이 큰 만큼 건강관리 업종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이들 업종을 육성하기 위한 과감한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승구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