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전기장판·전기매트 83%서 유해물질 검출…"안전기준 마련해야"

추운 겨울철 많이 사용하는 전기매트와 전기장판 10개 중 8개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하지만 관련 안전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18개 합성수지제 전기장판류(전기매트 10개·전기장판 8개)의 유해물질 함유 여부를 조사한 결과. 83.3%인 15개 제품 매트 커버에서 관련 기준치를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고 16일 밝혔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첨가제다. 과거에는 화장품·장난감·세제 등 각종 PVC 제품이나 가정용 바닥재 등 광범위하게 쓰였지만 지금은 환경호르몬 추정물질로 사용이 금지됐다.

특히 전기매트 8개 제품은 표면 코팅층이 없거나 코팅층의 두께가 기준치(최소 8㎛ 이상, 평균 15㎛ 이상)에 미치지 못했다. 표면 코팅층은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7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EHP와 BBP가 관련 기준치(총합 0.1% 이하)를 최대 142배(최소 0.9%~최대 14.2%) 초과해 검출됐다. 특히 전기장판 8개 전 제품은 표면코팅층이 아예 없었다. 이들 제품에선 DEHP가 최대 257배(최소 4.9%~최대 25.7%) 초과해 검출됐다.

전기장판류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확인대상 전기용품으로 관리되고 있지만 유해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에 대한 안전기준은 없다.

특히 최근에는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전기장판 제품들이 출시됨에 따라 어린이도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어 안전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소비자원은 강조했다.

소비자원은 "유해물질이 검출된 전기장판류 사업자에게 자발적 시정조치를 권고했다"고 말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