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2.7℃
  • 맑음대전 22.3℃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19.1℃
  • 구름조금광주 22.3℃
  • 구름많음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9.5℃
  • 구름조금제주 22.0℃
  • 맑음강화 19.6℃
  • 맑음보은 19.0℃
  • 구름조금금산 19.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육아·가사하는 남성 작년 17만명…'역대 최고'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베이비페어를 찾은 아이를 안은 아빠들이 임신·출산·육아 정보를 공유하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17.11.3 <뉴스1>

집에서 전적으로 아이를 돌보거나 집안일을 하는 남성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반면 집안일만 하는 여성은 감소했다.

17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경제활동인구 중 육아·가사를 전담하는 남성은 모두 17만명에 달했다. 이는 2003년 기준을 새로 정립한 이후 최대치다.

전업 육아·가사 남성은 2003년 10만6000명을 시작으로 2010년 16만1000명까지 증가했다. 이후 2011년과 2012년 각각 14만7000명, 2013년 14만4000명, 2014년 13만명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2015년 15만명으로 증가하면서 2016년 16만1000명, 작년 17만명까지 늘어났다.

통계청은 초등학교 입학 전인 미취학 아동을 돌보기 위해 집에 있는 이를 '육아'로, 가정에서 가사를 하는 사람을 '가사'로 분류했다.

지난해 기준 가사활동에 전념한 남성은 16만6000명, 육아 남성은 4000명으로 나타났다.

가사만을 하는 남성은 2015년 14만2000명, 2016년 15만4000명, 작년 16만6000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전담 유아를 하는 남성은 2015년 8000명, 2016년 7000명, 작년 4000명으로 다소 감소하고 있다.

반면 육아·가사만을 하는 여성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2014년 714만3000명으로 처음으로 전년보다 감소하기 시작해 2015년 708만5000명, 2016년 704만3000명, 지난해 694만5000명으로 600만명대에 접어들었다. 이는 2009년 699만9000명 이후 8년 만이다.

통계청은 이처럼 남성과 여성의 정반대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로 고령화가 꼽힌다.

은퇴 후 일을 하지 않고 집 안에 있는 남성이 가사를 점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또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집계가 시작된 1999년 이래 59.2%로 가장 높다는 점도 요인이다.

이처럼 은퇴 후 집에서 살림하는 넘성이 늘고, 일하는 여성이 증가하면서 성 역할 고정관념이 변화하고 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