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맑음동두천 23.5℃
  • 맑음강릉 26.6℃
  • 구름많음서울 25.3℃
  • 구름많음대전 25.9℃
  • 구름많음대구 25.7℃
  • 박무울산 23.6℃
  • 흐림광주 24.1℃
  • 구름많음부산 22.9℃
  • 흐림고창 23.6℃
  • 제주 22.9℃
  • 구름조금강화 23.9℃
  • 구름많음보은 23.1℃
  • 구름많음금산 24.8℃
  • 흐림강진군 23.4℃
  • 구름많음경주시 24.9℃
  • 구름많음거제 22.4℃
기상청 제공

[Hot Job] 반려동물 1000만시대 "내 새끼 마지막 가는 길 아름답게"

반려동물장의사, 독신주의·무자녀 부부·독거노인 등 증가로 인기

최근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가족의 일원 또는 삶의 동반자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아졌다.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 용어는 1983년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그리고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이라는 용어 대신에 반려동물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현재 일본, 미국, 유럽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동물에 대한 학대행위 방지 등 동물을 적정하게 보호·관리하기 위한 동물보호법을 개정해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처럼 반려동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면서 반려동물장묘업과 반려동물 장의사라는 직업이 나오게 됐다. 반려동물의 존재감이 커지고 그들의 죽음을 진심으로 애도하는 장례를 치러주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등장하게 된 것이다. 

국내에서는 1999년도에 일본의 애견장묘업체가 소개되면서 그 사업성을 내다보고 몇몇 업체가 관련 일을 시작했고 그 뒤로 국내 업체를 모델로 후발업체들이 생겨났다. 그리고 2001년부터 본격적인 장례서비스가 이루어지고, 2008년 동물보호법이 개정되면서 동물장묘업에 대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 애완동물 장의사의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됐다.

<출처=pixabay>

◆ "내 새끼, 마지막 가는 길 아름답게 해줘야"

'반려동물장의사'는 반려동물의 장례와 관련한 모든 것을 책임지는 전문가다. 이들은 반려동물의 장례식을 주관하고 장례절차 및 각종 용품을 준비하는 등 장례관련 업무를 한다. 하는 일은 크게 사체 이송, 장례식 과정의 염습과 입관 절차를 다루는 예식 그리고 화장로를 이용한 화장의 3가지로 구분된다.

보통 반려동물이 사망했다고 장례의뢰가 들어오면 고객과 장례절차에 대해 논의하고 자택으로 영구차를 보내 사체를 장례식장으로 운구한다. 그 뒤 반려동물의 사체를 곧고 바르며 깨끗하게 거두는 수시(收屍)와 염습(殮襲:사체를 깨끗이 목욕시켜 수의를 입히는 일)을 거쳐 입관(入官:사체를 관속에 넣는 작업)을 한다.

반려동물도 사고사를 당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수술용 바늘로 사체를 꿰매서 최대한 깨끗한 상태로 복원한다. 입관이 끝나면 발인을 하게 되며 고객의 종교에 맞게 장례예식을 치르고 화장을 한다. 화장 뒤에는 유골을 수습하고, 분골을 고객에게 인도하며 예식을 종료한다. 고객에 따라 화장만 하는 경우도 있고 화장 뒤에는 애완견 장묘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납골당에 두거나 야외에 뿌리기도 한다. 

또한 장례식에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고객을 위하여 모든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제공해주는 일도 한다.

이처럼 반려동물장의사는 사체이송에서 장례식 과정, 화장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혼자 맡아서 처리하며 따라서 장례식장과 화장장, 납골당을 함께 갖추고 있는 곳에서 근무를 한다.

<출처=서울시연구원>

◆ 신경 예민항 고객 위해 항상 말·행동 주의해야

근무시간은 업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보통 오전 9시에서 저녁 9시까지다. 장례업무라는 것이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밤늦은 시간이나 주말에도 고객의 요청에 따라 일을 할 수 있다. 근무할 때는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병원 가운을 입고 근무를 한다. 반려동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장례식 준비에서 화장 뒤 마무리까지 보통 3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근무환경에 있어 특별한 제약은 없으며 업무의 특성상 장례식에 참석하는 고객들이 매우 슬픔에 잠겨있는 상태이고 경우에 따라 신경이 매우 예민해진 고객도 있기 때문에 항상 말과 행동에 있어 주의를 해야 한다.

반려동물장의사가 되려면 기본적으로 동물을 좋아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또한 반려동물을 잃은 사람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격려해 줄 수 있는 넓은 포용력과 강한 서비스 정신이 요구된다.

반려동물장의사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특별한 자격이나 면허는 없으며 영구차 운전을 위해 운전면허는 갖추어 놓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강아지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의 종류와 특성을 알고 있으면 향후 업무수행에 많은 도움이 되며 교통사고 등으로 사체가 훼손된 경우 수습을 하기 위해서는 수술도구를 이용하는 약간의 기술도 필요하다.

대학의 반려동물학과, 반려동물관리학과 등 관련 학과를 나오면 반려동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쌓는데 도움이 되며 장례지도과 등에서 장례 절차와 과정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반려동물 장묘업체에 취업해 반려동물장의사의 업무를 보조하며 관련 지식과 기술을 쌓는 것이 보편적이다.

주로 반려동물 장묘업체에서 근무한다. 이 직업을 갖게 될 때 학력 등의 특별한 제약은 없으며 반려동물이나 장례에 대한 기본지식을 갖추고 있으면 유리하다. 처음에 입사를 하면 선배 반려동물장의사의 업무를 보조하게 된다. 보통 입사를 해서 관련기술을 습득하는 데에는 약 3개월의 시간이 소요된다.

<제공=농업경제연구소>

◆ 동물에 대한 관심과 사랑, 봉사정신 갖추면 성장 가능

반려동물 인구가 증가하고 시장이 커짐에 따라 앞으로 반려동물 산업에 대한 전망은 밝은 편이다. 특히 핵가족화를 비롯해 독신주의의 증가, 무자녀 부부 및 독거노인 증가 등 가족 구조가 변화하면서 반려동물을 동물이 아닌 가족이나 동반자로 생각하는 사람이 늘면서 이들의 죽음을 애도할 수 있는 반려동물 장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려동물장의사는 관련 지식과 기술에 앞서 반려동물을 잃은 가족의 슬픔을 함께 하고 위로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평상시 반려동물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랑이 있고 높은 봉사정신과 서비스 정신을 갖추고 있다면 앞으로 반려동물장의사로 성장할 수 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