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 10곳 중 약 3개사가 올해 구조조정을 했거나 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확대나 축소 등 내부적 요인 때문이다.
17일 잡코리아가 중소기업 497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구조조정 계획'에 대해 설문조사를 한 결과 26.6%는 '올해 구조조정을 했거나 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올해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은 73.4%였다.
올해 구조조정을 하는 중소기업 중에는 '인력 구조조정만 한다(감원)'는 기업이 47.0%로 가장 많았고, '조직/인력 구조조정을 한다'는 기업은 31.8%, '조직 구조조정만 한다'는 기업은 21.2%에 그쳤다.
즉, 올해 구조조정을 하는 중소기업 중 인력을 감원하는 기업은 78.8%, 조직 구조조정을 하는 기업은 53.0%인 것이다.
이들 중소기업은 올해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이유로 '사업 확대나 축소 등 내부적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고 답한 기업이 56.1%로 절반 이상으로 많았고, '경기침체나 제도변화 등 외부적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는 기업은 43.9%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사업구조의 효율화를 위해' 구조조정을 계획한다는 기업이 62.9%로 과반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비용 절감'(47.7%), '사업 분야 축소'(18.2%)로 조사됐다.
인력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기업이 감원 하려는 대상은 '사원급'(43.3%)으로 가장 많았고, '과장급'(26.0%), '차부장급'(15.4%), '대리급'(10.6%) 순으로 감원을 계획하는 기업이 많았다.
조직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중소기업 중 절반 이상인 64.3%는 조직 구조조정 후 직원을 충원할 계획이라 응답했다.
충원을 계획하는 직급 중에는 '사원급'(60.0%), '대리급'(28.9%)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