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의 피해가 갈수록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2444억원(5만7695건)이던 피해액이 2016년 1924억원(4만5921건)으로 감소했다가 2017년 2431억원(5만13건)으로 늘었다. 올해 상반기 피해액은 1802억원(3만99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38억원(2만2051건)보다 764억원(8945건)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20~30대 젊은층이 24%를 기록한 가운데 최근에는 인출이나 전달 등 보이스피싱 범죄에 연루되는 경우도 다수 발생했다.
대학생 대부분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고 주로 노년층이 피해 대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정작 실제 피해는 대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대학생 35.2%는 검찰이나 금융감독원이 돈을 안전하게 보관해준다고 잘못 알고 있기까지 하다.
30일 금융감독원이 전국 61개 대학교 금융실용강좌 수강생 1314명을 '보이스피싱에 대한 인식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 대부분(95.1%)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 40.6%는 보이스피싱 전화나 문자를 받은 경험이 있다.
검찰이나 금감원 등 '정부기관 사칭형' 전화를 받은 비율은 45%로 가장 많았고, 채용·아르바이트를 이유로 '개인금융거래정보 제공 요구(25%)'와 '대출 빙자형'(23%) 전화도 받았다. 또 납치·협박을 꾸미거나 택배회사를 사칭하는 연락은 7.1%였다.
대학생 44.7%는 보이스피싱 피해 대상은 자신들이 아닌 노년층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올해 상반기 20~30대 청년층의 보이스피싱 피해액이 전체의 24.0%로 노년층(19.8%)보다 심각하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대학생들은 보이스피싱 범죄수법과 처벌 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나 '정부 기관이 돈을 안전하게 보관해 준다'고 잘못 알고 있는 답변이 35.2%나 나왔다.
대학생들은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을 위해 강력한 단속·처벌(55.5%), 교육·홍보(40.3%), ATM 지연인출시간 연장(3.8%)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SNS를 활용(73.6%)한 홍보가 젊은층에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며, TV·라디오 방송(18.2%), 검색포털 광고(7.4%) 순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금융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 상당수가 보이스피싱에 대해 제대로 모르고 있다고 나타난 만큼, 앞으로 피해 예방 홍보·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