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신속항원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206/art_164429842488_1e8aaa.jpg)
【 청년일보 】정부는 새로운 방역체계 적용에 따라 사회적거리두기와 방역패스 적용 완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본격화에 따라 기존 방역 정책의 효용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유행 상황을 반영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8일 백브리핑에서 "거리두기는 유행 상황을 평가하면서 중증화율, 치명률, 의료체계 여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서 완화가 가능할지 보겠다고 한 바 있다"고 말했다.
손 반장의 발언은 앞서 지난 4일 '6인·9시' 거리두기를 2주 연장 발표와 관련 "확진자가 증가해도 위중증·치명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의료체계 여력이 충분하면, 방역 규제를 단계적으로 해제해 일상회복을 다시 시도할 것"이라는 방침을 언급한 것이다.
정부는 코로나19에 대해 '계절 독감'과 유사한 일상적 방역의료체계를 적용할 가능성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는 전파력은 강하지만 중증화율은 낮은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의 방역체계 적용 완화 방침은 방역의료 전략이 중증·사망 최소화' 중심으로 전환된 것과도 관련있다.
앞서 정부는 재택치료 환자 관리도 중증·사망 위험이 큰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위주로 하고, 경증·무증상이 대부분인 젊은 환자들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도록 했다. 위치정보시스템(GSP) 기반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폐기하며 역학조사와 자가격리 기준도 대폭 완화해 자가격리자의 동선 관리도 어려워졌다.
다만 1일부터 시행하는 청소년 방역패스 등 기존에 정해진 정책은 예정대로 추진한다.
손 반장은 "조정이 있을지는 다음주까지 오미크론 유행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면서 검토할 문제로 본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