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아동학대로 인한 사건·사고들이 많이 전해지고 있다. 지속적인 학대로 숨진 채 발견된 아이, 태어나자마자 유기 및 방치돼 끝내 숨진 아이, 신체적·정서적 학대로 고통받는 아이 등 너무 많은 아이들이 공포 속에서 서서히 빛을 잃어가고 있다. 가장 안전하게 보호받아야 할 아이들이, 어째서 보호받지 못하고 사회로부터 외면받아 서서히 사그라드는 불씨가 돼야 하는 걸까.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아동 학대로 인한 피해 아동은 2018년 2만18명, 2019년 2만2천649명, 2020년 2만2천431명, 2021년 2만7천416명, 2022년 2만7천971명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이 중, 아동학대로 인해 사망한 아이들은 2018년 28명, 2019명 42명, 2020년 43명, 2021년 40명, 2022년 50명으로 집계됐다. 시대에 맞춰 우리 사회는 나날이 발전해 가고 있지만, 어째서 그 무엇보다 가장 중요시 여겨져야 하는 아이들의 인권은 무너지고, 생명의 가치는 바닥으로 추락하는가? 아이들이 안전하게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은 쉽지 않은 한 가지의 방법과 그 무엇보다 쉬운 한 가지의 방법, 총 두 가지의 방법을 이야기할 수 있다. 먼저,
【 청년일보 】 과거까지 고독사는 독거노인들의 문제로만 대두됐지만,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청년층, 중장년층을 포함한 다양한 연령층 대의 문제로 자리 잡았다. 특히, 매년 1인 가구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보니 그에 따라 1인 가구에서 많이 보이는 고독사 비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22년 기준 1인 가구의 수는 약 750만 명으로, 2021년보다 약 1.1% 상승했다. 그중 20대는 138만 명, 30대는 129만 명, 40대는 97만 명, 50대는 113만 명, 60대는 125만 명, 70대는 80만 명, 80대는 58만 명으로 집계됐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고독자 사망자 수는 총 3천378명으로 점차 증가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남성 고독사가 여성 고독사에 비해 4배 이상 많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령은 50~60대로 확인됐다. 점차 늘어나는 고독사 비율에 정부는 올해 5월, 제1차 고독사 예방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전체 사망자 수 100명당 고독사 수를 2021년 1.06명에서 2027년 0.85명으로 20% 감소시키고자 정부는 4대 추진 전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