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은행은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잠정치)이 -0.2%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분기 기준 역(-)성장은 2022년 4분기(-0.5%) 이후 1년 6개월 만이다. 지난해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이어진 플러스(+) 성장 기조가 깨졌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수출은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1.2% 늘었지만, 원유·천연가스·석유제품 등 위주의 수입 증가율(1.6%)은 수출을 크게 웃돌았다. 정부 소비도 물건비를 중심으로 0.6% 늘었다. 반대로 민간소비는 승용차·의류 등 재화 소비 부진으로 0.2% 감소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 중심으로 1.2% 축소됐다. 1분기에 3.3%나 늘어 성장을 주도한 건설투자도 1.7% 뒷걸음쳤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0.3%p)·설비투자(-0.1%p)·민간 소비(-0.1%)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분기 기여도가 0.8%p에 이르던 순수출도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늘면서 2분기 성장률을 0.1%p 주저앉혔다. 그나마 정부소비(0.1%p)가 유일하게 플러스(+) 기여도로 성장률을 끌어올렸다. 업
【 청년일보 】 올해 상반기 채용 공고가 대부분 업종에서 감소한 가운데, 이력서 제출은 모든 업종에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경기 침체와 취업난 가중의 '이중고'를 여실히 드러냈다. 4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발표한 인공지능(AI) 랩 분석 '상반기 산업별 공고 및 이력서 변화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채용 공고는 전년 동기 대비 10개 업종 중 3개 업종에서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의 채용 공고가 9.3% 늘었고, 의료·제약·복지(2.2%↑), 교육업(1.1%↑)의 채용 공고는 소폭 상승한 반면, 채용 공고 감소율 1위는 정보기술(IT)·웹·통신 업종(15.5%↓)이었다. 이어 기관·협회와 미디어·디자인 분야(각 9%↓), 건설업(6.8%↓), 은행·금융업(4.3%↓), 제조·화학(2.6%↓), 판매·유통(1.4%↓) 순으로 낙폭이 컸다. 이력서 제출은 모든 업종에서 증가했는데, 교육업(140.6%), 의료·제약·복지(139.4%), 기관·협회(135%), 제조·화학(126.6%), 미디어·디자인(122.1%), 건설업(119.9%), IT·웹·통신(115%) 등의 분야에서 이력서가 크게 늘었다. 다만 채용 공고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서비스
【 청년일보 】 국민 세금으로 상환해야 할 적자성 채무가 내년 900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경우, 3년 뒤에는 적자성 채무 규모가 1천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중도 내년 70%에 달한 뒤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재정부가 4일 국회에 제출한 '2024∼20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내년 적자성 채무는 883조4천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올해 예상치인 802조원보다 81조4천억원(10.1%) 증가한 수치다. 전체 국가채무(1천277조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67.1%에서 내년에는 69.2%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적자성 채무란 상환을 위해 대응하는 자산이 없거나 부족해, 결국 국민 세금으로 갚아야 하는 채무를 의미한다. 주로 일반회계 적자를 메우기 위해 발행되는 국채가 대표적이다. 이는 곧 내년 국가채무의 70%가량이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것임을 뜻한다. 내년에는 일반회계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86조7천억원 규모의 국채가 발행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국회에 제출된 '2023∼2027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제시된 64조6천억원보다 늘어난 규모다. 올해 대규모
【 청년일보 】 올해 1∼8월 동안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액이 9조원에 근접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해외에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농식품 수출이 전년 대비 크게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8개월간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7% 증가한 64억8천만달러(약 8조7천억원)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고치다. 특히 라면, 과자류, 음료, 쌀 가공식품 등 주요 품목들의 수출 실적이 모두 최대치를 새로 썼다. 라면 수출액은 매운 라면의 인기가 더해져 전년 동기 대비 31.7% 증가한 8억달러(약 1조1천억원)에 달했으며, 8개월 만에 1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10월에 달성했던 1조원 돌파 기록을 두 달이나 앞당긴 것이다. 과자류 수출액은 15.4% 증가한 4억9천400만달러(약 6천600억원), 음료 수출액은 13.6% 증가한 4억4천900만달러(약 6천억원)로 집계됐다. 가장 큰 성장률을 보인 품목은 즉석밥과 냉동 김밥 등 쌀 가공식품으로, 이들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41.7% 증가한 1억9천만달러(약 2천500억원)에 달했다.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해 배와 포도 등 신선 농산물의 수
【 청년일보 】 내년에 걷힐 '숨은 조세'로 불리는 부담금 규모가 약 23조원으로, 5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는 정부가 발표한 각종 감면 및 폐지 계획의 영향으로, 부담금이 줄어드는 것은 2020년 이후 처음이다. 3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년도 부담금운용종합계획서'에 따르면, 2025년 부담금 징수 규모는 23조1천866억원으로, 올해 계획된 24조6천157억 원보다 5.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계획대로 징수가 이루어진다면 부담금 규모는 2020년(-1.2%) 이후 5년 만에 감소하는 것이다. 정부는 올해 3월 발표한 부담금 정비 계획에 따라 이미 여러 부담금을 감면해 왔으며, 내년에는 이러한 부담금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전력산업기반기금, 관광기금 재원인 출국납부금, 여권 발부 시 납부하는 국제교류기여금 등 12개 부담금을 감면하면서 연간 약 1조5천억원의 부담금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정부는 학교용지부담금, 영화상영관 입장권 부과금 등의 폐지를 포함한 개정안을 추진 중이다. 이러한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부담금 수는 현재 91개에서 69개로 줄어들게 된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의 경우 내
【 청년일보 】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지난달 국내 최대 전력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냉방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가정과 상업시설의 전기요금 부담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특히 누진 요금제의 상위 구간으로 진입하는 사용자들은 체감 인상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2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평균 최대 전력수요는 전년 동기(82.7GW) 대비 6.1% 증가한 87.8GW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대 전력수요는 하루 중 전력 사용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의 전력수요다. 이번 기록적인 전력수요 증가는 지난달 내내 이어진 찜통더위로 인해 냉방용 전력 사용이 급증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전체 전기 사용량 중 가정용 전기와 상업용으로 구분되는 일반용 전기의 비중은 각각 약 20% 수준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폭염일수는 16일로, 지난 2016년의 16.6일에 이어 통계를 집계한 1973년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또한, 지난달 열대야 일수는 11.3일로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으며, 한 달 중 3분의 1가량이 열대야로 이어졌다. 지난달 하루 기준 최대 전력수요 역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지난달 20일에는
【 청년일보 】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11.4% 증가하면서 11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79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4%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수출이 플러스 전환된 이후 꾸준히 이어진 증가세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119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8.8% 증가, 역대 8월 중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10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한국 수출을 견인하고 있다. 반도체는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 50%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한 후, 8월에도 약 40% 증가하며 강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반면, 자동차 수출은 51억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했다. 이는 일부 자동차 제조업체의 생산라인 현대화 작업과 임금 협상 관련 부분 파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5대 주요 수출 품목 중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석유제품, 선박 등 7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선박 수출은 28억달러로 전년 대비 80.0% 증가하며 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시장 중 8개 지역에서 수출이
【 청년일보 】 올해 7월 국세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1조2천억원(3.1%) 증가하며 40조3천억원을 기록했다. 월간 국세 수입이 전년 대비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올해 2월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올해 누적 국세 수입은 여전히 전년 대비 9조원가량 적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기획재정부가 30일 발표한 '7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계로 걷힌 국세는 208조8천억원로 집계돼 전년 동기 대비 8조8천억원(4.0%) 감소했다. 예산 대비 진도율은 56.8%다. 한 해 걷힐 것으로 예상한 국세 367조3천억원 가운데 56.8%를 7월까지 걷었다는 의미다. 부가가치세 수입은 21조6천억원으로 지난해보다 6천억원 증가했다. 이는 상반기 소비와 수입 증가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분석된다. 다만, 정부는 국내 소비 증가세가 예상보다 약했고, 기업들의 설비투자 증가로 인한 부가세 환급이 늘어나면서 국내분 부가가치세 증가분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법인세 수입은 7월 한 달간 고금리의 영향으로 원천분과 신고분 모두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6천억원(33.9%) 늘었다. 그러나 1월부터 7월까지 누계로는 법인세가 33조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 청년일보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을 맞아 서울 25개 구에서 90개 시장 및 유통업체, 일반 슈퍼마켓 19곳, 전통시장 16곳의 추석 제수용품 24개 품목에 대해 1차 조사를 실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27∼28일 서울 25개 자치구 내 전통시장과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SSM), 일반 슈퍼마켓 등 90곳의 추석 제사용품 24개 품목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에 따르면 채소·임산물 가격이 9.6%로 가장 많이 올랐고 축산물은 1.1%, 수산물 0.3% 등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했다. 가공식품(-3.9%)과 과일(-4.4%)은 가격이 떨어졌다. 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추석 3주 전 제사용품 구매에 드는 비용이 4인 기준 평균 32만8천95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 24개 품목 가운데 가격이 오른 품목은 8개로 나타났다. 시금치(400g)가 1만2천469원에서 1만6천338원으로 31.0%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햇반(1㎏)이 17.9%(1만1천427원→1만3천470원)로 뒤를 이었다. 밤(17.9%↑), 돼지고기(12.6%↑), 햇배(
【 청년일보 】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내수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 반면, 설비투자는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 농림어업 제외)는 112.7(2020년=100)로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이는 지난 4월 1.4% 증가 이후 5월(-0.8%)과 6월(-0.1%)에 이어 세 번째 감소세다. 이번 감소세는 주로 제조업 부진에 기인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월 대비 3.6% 줄어들며 2022년 12월(-3.7%) 이후 최대폭 감소를 기록했다. 특히 제조업 생산이 3.8% 감소했으며, 주요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이 각각 8.0%, 14.4% 감소했다. 자동차 생산 감소폭은 2020년 5월(-24%) 이후 최대치로, 파업과 생산라인 보수공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으로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기준으로는 '플러스'로 가고 있다"며 "산업 부문은 괜찮은 상황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내수 부진은 소매판매 감소로 이어졌다. 재화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 판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