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하나금융그룹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으로 3조4000억원이 넘는 순이익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이는 불확실한 경제 여건 속에서도 수익구조 다각화를 통해 비이자이익을 확대한 점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 달성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하나금융그룹(이하 하나금융)은 28일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3조4,334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3조2,254억 원) 대비 6.5% 증가한 수준이다. 3분기 순이익은 1조1,324억 원으로, 시장전망치(1조694억 원)를 웃도는 호실적을 냈다. 다만 전년 동기(1조1,556억 원)보다는 약 2% 감소했다. 호실적을 견인한 것은 '비이자이익'이었다. 하나금융은 환율 상승에 따른 FX 환산손실 등 불확실한 대외 환경 속에서도 수익 구조를 다변화한 결과, 비이자이익이 2조25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2,210억 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누적 이자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6조7,803억 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주요 계열사인 하나은행은 3분기 1조482억원을 포함한 3분기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 3조1,333억원을 시현했다.
【 청년일보 】 신한금융그룹(이하 신한금융)이 올해 3분기까지 4조5,000억원 규모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신한금융은 28일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이 4조4,60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4조441억원)보다 10.3% 증가했다고 밝혔다. 3분기 순이익은 1조4,235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2,971억원)보다 9.8% 증가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기업 대출 중심의 자산 성장과 수수료 이익 증가, 효율적 비용 관리 노력으로 안정적 실적을 거뒀다”며 “지난해 주가연계증권(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등 일회성 비용도 사라지면서 3분기 누적 순이익도 10% 이상 늘었다”고 했다. 3분기 그룹 이자이익은 2조9,476억원으로 1년 전(2조8,550억원)보다 3.2% 증가했다. 대출 자산 규모가 늘어난 영향에 이자이익이 증가했다. 신한금융과 신한은행의 3분기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1.90%, 1.56%로 지난 2분기(1.89%·1.55%)보다 0.01%포인트 올랐다. 수수료 등 비이자이익은 9,649억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비이자이익 호조는 주식이나 투자은행(IB) 거래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외국인 및 기관 매도 우위에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32.42포인트(0.80%) 내린 4,010.41에 장을 마쳤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은 2조1천78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조8천25억원, 2천76억원 순매도했다.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 삼성전자(-2.45%), SK하이닉스(-2.62%), HD현대중공업(-4.81%), 한화에어로스페이스(-4.14%), 현대차(-1.57%) 등은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3.03%), 삼성바이오로직스(1.99%), 두산에너빌리티(5.49%) 등은 상승했다. 코스닥은 전장 대비 0.60포인트(0.07%) 오른 903.30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천993억원, 124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1천742억원 순매도했다.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 에코프로비엠(0.69%), 에코프로(3.62%), 레인보우로보틱스(0.29%), HLB(3.14%) 등은 올랐다. 알테오젠(-1.55%), 펩트론(-4.95%), 삼천당제약(-3.32%) 등은 내렸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6.0원 오른 1,437.7원
【 청년일보 】 하나증권은 올 3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이 6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1%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65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6.9% 뛰었다. 올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영업이익 1천842억원, 당기순이익 1천696억원을 달성했다. 이번 실적 호조는 증시 상승 등 긍정적인 시장 환경과 함께 각 사업 부문의 자산관리 전략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WM(자산관리) 부문은 증시 활황에 따른 수수료 수익 개선이 실적을 견인했고, IB(투자은행) 부문은 인수금융 비즈니스의 성과와 자산 효율화 전략이 기여했다. S&T(세일즈앤트레이딩) 부문 역시 파생결합증권 발행 선두 지위를 유지하며, 시장 변동성에 맞춘 리스크 관리로 수익 안정성을 확보했다. 하나증권 관계자는 “각 사업부문의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외국인통합계좌 서비스 등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를 통해 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신한투자증권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28일 신한금융그룹에 따르면 신한투자증권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1천4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8%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수익은 4천347억원으로 1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천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141.2% 증가했다. 3분기 주식 위탁수수료 수익이 1천69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74.7% 급증한 것이 주효했다. 지수 상승으로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된 영향이다. 주식수수료를 포함한 전체 수수료 수익은 2459억원으로 같은 기간 37.6% 늘었다. 다만 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28.3%, 33.5% 감소했다. 채권 등을 포함한 상품운용수익이 감소한 탓으로 분석된다. 3분기 상품운용수익은 567억원으로 지난 2분기(1천66억원) 대비 46.8% 줄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신한라이프가 불확실한 대내외 금융환경에서도 2025년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0.1%(474억원) 증가한 5천145억원을 시현했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신한라이프는 ‘TOP2를 향한 질주, Value-Up Together!’라는 슬로건 아래 고객 편의성 제고, 시장의 판도를 바꾸는 영업 경쟁력 혁신, 지속성장을 위한 투자 성과 확대를 핵심과제로 추진하며 매 분기 뚜렷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최근 3년간 당기순이익은 ▲2022년 4천494억원 ▲2023년 4천724억원 ▲2024년 5천284억원을 기록하며 매년 증가해 왔다. 특히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5천145억원으로 집계되며 2025년 회계 마감 기준 역대 최고의 성과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3분기 누적 연납화보험료(APE)는 전년 동기 대비 2.0%(244억원) 늘어난 1조2천399억원을 기록했다. 보장성 보험은 지난해 일시적 상품 판매 확대 요인을 제외하면 1천769억원(30%) 증가한 1조1천288억원, 저축성 및 연금 보험은 시장 트렌드 변화에 따라 적시 출시한 연금 상품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4%(539억원) 급증했다.
【 청년일보 】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금융 취약계층인 장애인 고객을 위해 ‘IBK 함께하는 장애인신탁’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가입 대상은 상속 및 증여세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한 장애인이다. 신탁 재산은 가족 등에게 증여받은 금전과 부동산으로 금전은 최대 5억 원, 부동산은 금액 제한 없이 가입 가능하다. 비과세 혜택은 금전·부동산 모두 5억 원까지이다. 가입자는 신탁에서 발생한 운용수익을 수시로 출금할 수 있다. 또한 중증장애인이 의료비·특수 교육비·생활비를 사유로 원금을 출금하는 경우에는 증여세 부담 없이 인출 가능하다. 기업은행은 증여세 신고 절차를 지원하고 시각장애인 고객을 위한 음성 안내 서비스를 제공해 금융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이번 상품이 장애인 고객의 자산관리와 생활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를 확대해 사회적 책임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 BNK부산은행은 고객의 예금 운용 수요에 맞춰 최대 연 2.60% 금리를 제공하는 2년제 '더(The)특판 정기예금'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특판상품 가입대상은 실명의 개인 고객이고, 가입금액은 100만원 이상이면 제한이 없다. 기본금리는 연 1.55%로, 특판금리 0.85%포인트와 우대금리 ▲모바일 금융정보 및 혜택알람 동의 시 0.1%포인트 ▲신규 고객 우대금리 0.1%포인트를 더해 최대 연 2.6% 금리가 제공된다. 또 BNK부산은행 모바일뱅킹 앱(App)을 통해서만 가입할 수 있는 비대면 전용 상품으로, 총 판매한도 500억원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다. BNK부산은행 신식 개인고객그룹장은 "최근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중장기 안정 수익을 선호하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BNK부산은행은 창립 58주년을 맞아 고객감사 콘서트, 고객참여 이벤트, 창립기념 금융상품 출시, 런치데이 캠페인 등을 실시해 지역민과 고객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지역사회와의 상생과 동행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 iM금융그룹 iM사회공헌재단(이사장 황병우)은 지난 27일 서울 중구 소재 iM금융센터에서 노인 일자리 창출 및 금융교육 지원을 협력하고 원활한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한국시니어클럽협회(회장 조범기)와의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이날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협회 회원기관들이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협력하는 등 활기찬 노후를 통한 지역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일하는 어르신들을 위한 맞춤형 금융교육 지원을 협력하고 보이스피싱 예방 등 금융 사기 예방 교육을 통해 형식적인 도움이 아닌 지역사회 및 일상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황병우 iM사회공헌재단 이사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초고령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고, 금융교육을 통한 일상생활 편의성 증진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어르신들의 활기찬 노후를 위한 다양한 ESG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 NH농협은행(은행장 강태영)은 지난 27일 농협은행 본사에서 '2025년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빅리그'의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RPA 빅리그는 업무담당 직원이 직접 RPA 기술을 활용해 자동화 과제를 발굴·개발하는 사내 경진대회로, 업무현장 중심의 혁신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는 39개 과제가 발굴되었으며 ▲(대상)민원인정보 자동정비 ▲(최우수상)모바일대출 서류접수 자동확인 ▲(우수상)NH ONE 해외송금 서비스 대량 건 처리 등 10개 우수 과제가 최종 선정됐다. 발굴된 39개 과제는 테스트 단계를 거쳐 연내 실무에 적용할 예정이다. 도입이 완료되면 총 233건의 업무를 자동화해 연간 약 426억원의 비용 절감하고 고객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업무효율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태영 은행장은“단순·반복 업무의 자동화를 통해 직원들의 업무 효율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RPA와 AI 기술을 결합한 프로세스 고도화로 업무 품질 향상과 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청년
【 청년일보 】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지난 25일부터 26일까지 1박 2일간 사회복지법인 아이들과미래재단(이사장 이훈규)과 함께 한부모 가족을 위한 ‘위비프렌즈와 떠나는 숲속여행’ 캠프를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캠프는 양육과 생계 부담으로 여가를 즐기기 어려운 한부모 가정에게 가족 간 유대 강화와 가족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도록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 가족과 함께하는 레크리에이션 및 명랑운동회 △한부모를 위한 아로마테라피 클래스 △아이들을 위한 숲속 체험활동 등 세대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즐거운 추억을 쌓았다. 캠프 마지막 밤에는 가족별로 마련된 카라반에서 BBQ 파티와 ‘불멍 타임’을 즐기며 하루를 마무리했다. 캠프에 참가한 보호자는 “경제적 여건으로 여름휴가를 가지 못해 아이들에게 미안했는데, 이번 캠프로 단풍이 아름다운 가을에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었다”며 “아이들의 웃음을 보며 다시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가족 간 유대감을 바탕으로 아이들과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가족과 이웃의 삶을 지지하고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의 역할을 이어가겠다
【 청년일보 】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이 지난 24일 DB퇴직연금 고객을 초청해 ‘KB연금컨퍼런스’를 열고 금리하락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산운용 전략과 연금시장 전망을 공유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17일 부산에 이어 강남구 소재 JW메리어트호텔 서울에서 ‘Winter is here’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는 각 기업의 DB퇴직연금 담당자 약 300여명이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금리인하 기조 속 DB퇴직연금에서 예상되는 삼중고(수익률 하락, 부채부담 증가, 연말 상품부족)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적립금 운용전략과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1부에서는 김상훈 KB증권 리서치센터 자산배분전략부 상무가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이란 주제로 글로벌 경제환경을 짚어보며 예상되는 통화정책과 금리영향, 경기 불확실성 속 자산배분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2부에서는 손지현 KB국민은행 연금컨설팅부 파트장이 금리하락에 따른 DB자산·부채 전망과 연말 대비 DB적립금 운용전략을 소개했다. 특히 부채 할인율, 원리금보장형 상품 수익률 하락 등 금리하락이 가져올 부담금 납입 규모 증가와 연말 상품부족이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부담금 납입과 전략적인 적립금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