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취업난에 고립·은둔 청년 증가”···서울시, 13만명 추산

고립·은둔청년 비율 4.5% 파악···45.5% 실직·취업난

 

【청년일보】 서울에서 사회적으로 고립·은둔상태에 있는 만 13∼39세 청년이 최대 13만명으로 추산됐다. 취업난과 심리적 어려움이 이들을 고립·은둔 상태로 몰고 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5∼12월 전국 최초로 시행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시는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활동이 없는 청년 중 정서적·물리적 고립 상태가 6개월 이상 유지된 경우를 고립청년, 이 중 외출을 거의 하지 않고 집에서만 생활한 지 최소 6개월이 된 경우는 ‘은둔청년’으로 정의했다.

 

조사는 서울에 사는 만 19∼39세 청년 표본 5천221가구와 청년 5천5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고립·은둔 생활을 하는 당사자와 지원기관 실무자 심층 조사가 병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청년 중 고립·은둔 비율은 4.5%로 추정됐다. 이를 서울시 인구에 적용하면 최대 12만9천명, 전국 단위로 넓히면 약 61만명에 이른다.

 

고립·은둔 생활을 하게 된 계기는 ‘실직 또는 취업에 어려움(45.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심리적, 정신적인 어려움(40.9%) ▲다른 사람과 대화하거나 함께 활동하는 등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움(40.3%) 순으로 확인됐다.

 

특히 고립‧은둔청년은 서울시 청년 전체 평균보다 성인기 전후로 더 많은 부정적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이전에는 ‘가족 중 누군가가 정서적으로 힘들어했던 경험(62.1%)’, ‘집안 형편이 갑자기 어려워진 경험(57.8%)’, ‘지인으로부터 괴롭힘과 따돌림을 당했던 경험(57.2%)’ 등이 있던 것으로 조사됐다. 

 

성인기 이후에는 ‘원하던 시기에 취업을 못했거나(64.6%)’, ‘원했던 직장에 들어가지 못했던 경험(60.7%)’ 등 주로 취업 실패 등에 대한 경험을 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립‧은둔청년 중 55.6%는 거의 외출을 하지 않고, 본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보통보다 낮다’고 응답한 비율이 64.7%였다. 이는 일반 청년의 31.4%보다 배 이상 높은 수치다.

 

고립·은둔청년의 43.2%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 상태에 대해 '나쁘다'고 답변했다. 일반청년(14.2%)의 3배 수준이다.

 

또한 고립·은둔청년 18.5%는 정신건강 관련 약물을 복용한다고 밝혔다.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55.7%가 '그렇다'고 답했다.

 

고립‧은둔청년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으로 ‘경제적 지원(57.2%)’이 가장 높았으며, ▲취미, 운동 등의 활동(44.7%) ▲일자리나 공부 기회(42.0%) ▲심리상담(36.8%) 순으로 나타났다. 

 

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립·은둔 청년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획해 제공할 방침이다.

 

대학 전문병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금까지 단순 상담에 의존했던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을 과학화하고 체계화된 형태로 확장한다. 여기에 고립·은둔청년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는 '(가칭) 마음건강 비전센터'를 운영한다.

 

이를 포함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은 올해 3월 중 마련해 시행한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고립·은둔청년이 실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해, 그 청년들이 다시 사회로 나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구체적인 사업을 마련해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