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여의도 증권가 모습[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309/art_16778127577751_b3e971.png)
【 청년일보 】 올해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8곳가량이 임금을 인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인상률은 6.4%에 달한다.
3일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32개사를 대상으로 '2023년도 임금인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67.5%(224개사)가 올해 임금이 결정됐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78.1%(175개사)에 달했으며, 나머지는 동결 또는 삭감했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의 평균 인상률은 6.4%였다.
인상률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을 물은 결과 경영진의 결정(24.6%)이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개인 실적(19.4%), 물가 인상률(18.3%), 실적(17.7%) 순이었다.
임금을 올린 이유로는 '최저임금과 물가인상 때문'이라는 응답 비율이 69.1%(복수응답)로 가장 높았다.
이어 '직원 사기를 높이고 이탈을 막기 위해서'(44%), '관행적으로 인상해오고 있어서'(13.1%), '업계 전반적으로 연봉이 상승하고 있어서'(11.4%), '경영성과 또는 재정 상황이 좋아져서'(10.9%) 등 순이었다.
임금을 동결 내지 삭감한 이유로는 '작년 실적이 좋지 않아서'(42.9%)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비용 절감이 필요해서', '올해 매출 악화가 예상돼서'라는 응답 비율은 각각 26.5%를 차지했다.
또 올해 연봉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들의 절반(44.9%)가량은 지난해 초에도 연봉을 못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40.8%는 인력 구조조정 시행을 확정했거나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응답 기업 중 68.6%는 올해 회사 업황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예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좋지 않을 것'(57.8%), '매우 부정적'(10.8%) 등이다. '긍정적'이라는 응답률은 27.4%에 그쳤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