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 표지석 [사진=연합뉴스] ](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311/art_16787722394918_2578d7.jpg)
【 청년일보 】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업계의 유동성 비율은 177.1%로 목표치(100%)를 큰 폭으로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14일 설명자료를 통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업권 전체의 유동성 비율은 177.1%로, 저축은행 감독규정에서 정한 100% 대비 77.1%포인트(p)를 초과한 안정적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감독규정에 따라 저축은행은 3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자산과 부채를 기준으로 유동성 비율을 100% 이상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한국투자저축은행의 유동성 비율이 92.6%로 나타나 일각에서 유동성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이후 한국투자저축은행이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등 관리에 나서면서 12월 말 기준으로는 유동성 비율이 167.3%로 끌어올렸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한국투자저축은행은 지난해 9월 대출 증가에 따른 자금 사용으로 일시적으로 유동성 비율이 하락했으나,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목표치 이상을 준수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주요 저축은행의 유동성 비율은 ▲ 한국투자 167.3% ▲ 키움예스 181.4% ▲ 키움 181.5% ▲ 오에스비 153.8% ▲ 머스트삼일 151.4% ▲ 애큐온 151.4% ▲ 하나 159.4% ▲ 신한 118.7% ▲ SBI 126.3% ▲ 페퍼 112.2% ▲ 우리금융 139.1% ▲ NH 190.6% 등 모두 100%를 상회한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예금 인출 등 유동성 수요에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상황이며, 업계는 향후에도 유동성 비율 관리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