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금리인상 여파에 DSR 40% 돌파...한은,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 전망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의 6.3%는 취약차주...평균 DSR 66.6% 육박
한은 "가계대출 연체율, 작년 말 0.7%서 올해 말 1.0%로 상승" 전망

 

【 청년일보 】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년 만에 4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전체 차주 7명 중 1명은 원리금 상환에 소득 70% 이상이 지출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은 현재 0.7%에서 올해 말 1.0%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23일 공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최근 가계부문의 부실 위험과 DSR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DSR이란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 비율을 뜻하는 지표다. 금융기관은 DSR을 통해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가늠하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한은 분석 결과 지난해 4분기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40.6%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차주 평균 DSR이 40%를 넘은 것은 2018년 4분기(40.4%) 이후 4년 만이다.

 

다만 4분기 새롭게 대출을 받은 신규차입 차주의 DSR은 17.3%로 차주 단위 DSR 규제 강화 전인 2020년 4분기(23.8%) 대비 하락했다.

 

기존 대출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대다수 차주의 DSR은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33.8%에서 38.4%로 높아졌다.

 

가만히 있어도 매달 갚아야 하는 대출 원금과 이자 부담이 커진 셈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가계대출 차주의 68.1%(대출 비중 34.4%)는 DSR 40% 이하에 분포했다.

 

더욱이 DSR이 70%를 초과하는 고DSR 차주가 7명 중 1명꼴인 전체의 15.3%(대출 비중 41.9%)였고, 100%를 초과해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은 차주도 11명 중 1명인 8.9%(대출 비중 29.4%)로 집계됐다.

 

다중채무자(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후)인 취약차주는 4분기 기준 전체의 6.3%로, 이들의 평균 DSR은 66.6%에 달했다.

 

한은은 "2021년 하반기 이후 가계대출 차주의 DSR은 상승하고 있지만 금융권 관리기준(40∼50%) 이내"라며 "당장 가계 전반의 채무 상환부담 급증을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한은은 가계 전반의 부실위험은 낮지만, 향후 채무상환 부담이 과도하고 자산처분을 통한 부채상환 여력도 부족한 고위험가구의 부실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DSR이 40%,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모두 상회하는 고위험가구는 지난해 이후 이자 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으로 대출 연체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는 지적이다.

 

이들 고위험가구의 평균 DSR과 DTA는 2021년 101.5%와 131.6%에서 올해 2월 현재 116.3%와 158.8%로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가구는 2월 현재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5.0%, 금융부채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구체적으로 고위험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2억5천만원으로, 비고위험가구(1억원)의 2.5배였다.

 

이에 따라 한은은 고위험가구 중 30일 미만 단기 연체경험 가구(고위험가구의 6.9%), 연체 경험이 없더라도 향후 부채상환이 어려울 것으로 응답한 가구(고위험가구의 5.3%)가 점차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 변화를 추정했다.

 

그 결과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말 0.66% 수준에서 올해 말에는 1.0%까지 상승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기 평균(2009∼2022년 중 1.3%)을 밑도는 것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금융기관은 대손충당금 적립 등 손실흡수 능력 제고와 연체 관리에 힘쓸 필요가 있다"면서 "DSR 수준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분할상환 및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꾸준히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