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현대백화점 더현대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관람객들이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622/art_16855777973814_d6d011.jpg)
【 청년일보 】 지난 2년 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감소했던 문화예술관람이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문화예술 소비와 참여 활동에선 디지털화 확대 현상이 뚜렷하게 보였다.
서울문화재단은 1일 장애인과 다문화 이주민 등 '문화약자' 계층으로 조사 대상을 확대해 서울시민의 문화활동 수준과 변화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2023 서울시민 문화향유 실태조사(2022년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민은 지난 1년간 평균 10만 원의 문화비를 지출하며, 연평균 대략 4~5회 정도 문화 관람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20년 대비 지출 비용과 관람 횟수에서 각각 36.5%, 9.5% 증가한 수치다. 연평균 문화생활 비용 지출은 자녀가 있는 3040 기혼 여성이 15.8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문화재단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감소했던 문화예술관람이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시]](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622/art_16855776110959_8da032.jpg)
문화예술 소비와 참여 활동에선 디지털화의 다각화·보편화·일상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디지털콘텐츠 이용 경험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는 영상 스트리밍(63.1%), 음원 스트리밍(49.8%), 게임(36.5%), 웹툰·웹소설(32.3%) 오디오책·전자북(24.6%) 순으로 응답했다.
만 66세 이상 고령자 집단은 대체로 문화예술활동에 낮은 수준을 보여 문화약자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반면, 삶에서 문화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최근 사회적 고립·단절 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거주지 주변의 공공 문화시설 이용률'이 62.9%의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많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야외공원(19.7%), 도서관(18.5%)이 꼽혀 통상적 문화서비스 시설보다 이용률이 높았다.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조사는 문화적 약자로 분류되어 온 장애인과 다문화 이주민을 포함한 첫 시도로 의미를 갖는다"며 "사회와 문화향유 실태 변화를 반영한 문화정책을 만들고 서울시민의 문화적 취향과 향유 수준을 높이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오시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