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3사 [이미지=연합뉴스] ](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938/art_16949941433956_ca2d8c.jpg)
【 청년일보 】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중·저신용대출 공급을 늘린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들어왔다.
인터넷은행 3사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출범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뛰었으며, 특히 케이뱅크는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이 사상 처음으로 4%를 넘어섰다.
17일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1.20%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 신용대출 연체율은 3사 신용대출 연체액을 신용대출 잔액으로 나눈 수치다.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 2021년 0.3% 수준으로 유지되다가 지난해부터 점차 올라 지난해 6월 말 0.42%, 12월 말 0.77%, 올해 6월 말 1.04%, 8월 말 1.20%까지 상승했다. 이러한 수치는 인터넷은행 3사가 출범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일 뿐 아니라, 연체율이 1년 만에 약 2배 넘게 뛴 것이다.
국내은행의 지난 6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제외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이 0.62%라는 것과 비교하더라도 인터넷은행의 신용대출 연체율은 높은 편이다.
은행별로는 토스뱅크가 1.58%로 가장 높았고, 케이뱅크가 1.57%, 카카오뱅크가 0.77%로 집계됐다.
한편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대출만 떼어 보면 연체율 증가세는 더욱 가파르다.
지난달 말 기준 3사의 중·저신용대출 연체율은 2.79%로 집계됐다. 2021년 말부터 지난해 상반기까지 0.8%대를 유지했지만, 지난해부터 상승해 올해 6월 말 기준 2.46%를 기록했다. 1년 전(0.84%)과 비교하면 연체율이 2.9배까지 뛰었다.
은행별로는 케이뱅크가 4.13%로 가장 높았다. 뒤이어 토스뱅크 3.40%, 카카오뱅크 1.68% 순이었다. 중·저신용 연체율 역시 각 사 개별로도, 3개 사 합산 기준으로도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인터넷은행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가 계속 이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은이 지난 2021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기준금리를 10차례에 걸쳐 인상하면서, 연 0.50%였던 기준금리는 현재 3.50%까지 3.00%p(포인트) 높아졌다.
한은이 2월부터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는 했지만, 미국 등 주요국의 긴축 장기화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당분간 금리는 높은 수준에서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높여야 하는 만큼, 고금리 시기에 건전성 관리가 더욱 쉽지 않다는 게 은행권의 대체적인 평가다.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 대출 공급'이라는 설립인가 취지에 따라, 중·저신용대출 비중 목표치 달성을 요구받기 때문이다.
인터넷은행의 올해 8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28.4%, 케이뱅크 25.4%, 토스뱅크 35.6%로 집계됐다.
다만 3사 모두 연말 목표치(30%, 32%, 44%)를 달성하지 못해 하반기 중·저신용대출 비중을 더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 취약 차주부터 부실이 발생하는데, 통상 금리 인상 뒤 1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연체율이 오른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인터넷은행은 중·저신용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 연체율이 더 오르는 면이 있다"며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 연체율이 더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추이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