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 AA13구역에서 발생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로 국토교통부로부터 영업정지 8개월 처분을 받은 동부건설이 잇단 악재에 휩싸였다. 동부건설 사옥 [사진=동부건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206/art_17072030036954_2d152d.jpg)
【 청년일보 】 인천 검단 AA13구역에서 발생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로 국토교통부로부터 영업정지 8개월 처분을 받은 동부건설의 악재가 거듭되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동부건설이 컨소시엄을 이뤄 지분투자형태로 참여한 인천 검단 AA13구역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인해 강력한 처벌을 받은 만큼, 직접 시공한 AA21구역에서 철근누락이 드러난 것을 두고 추가 제재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인천 검단 AA21구역 신축 단지 공사가 5개월째 중단되고 있다.
지하주차장 붕괴로 물의를 빚은 바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가 지난해 사업을 진행하는 단지들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지난해 9월 AA21구역에서도 전체 13개동 중 4개동 지하층 6곳에서 철근 누락 사실이 드러나면서 LH와 입주 예정자간 갈등이 촉발됐다.
인근에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를 목격한 이 단지의 입주 예정자들은 이번에는 건물을 지탱하는 벽체철근이 대량으로 누락된 사실에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LH에 따르면 AA21구역 4513동의 경우, 지하 1~2층의 서쪽 벽면 전체와 지하 1층 북쪽 벽면에는 2톤 이상이 철근이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913kg만 사용해 무려 58% 가량이 누락됐다.
이에 입주예정자들은 LH에 대해 사과와 전면 재시공을 요구하고 나선 상황이다.
이 단지의 시행사로 입주 예정자들과 협상과정에서 잡음을 빚던 LH는 지난 1일 이한준 사장 명의로 공식사과문을 발송했지만 "정밀안전진단 시행을 통해 단지 전체의 구조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다만, 입주 예정자들이 요구하고 있는 전면 재시공에 대해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후속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힌 상황이다.
이 단지의 시공사는 동부건설이다. 감리는 목양종합건축사무소, 설계는 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가 맡았다.
특히, 앞서 발생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로 인해 8개월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동부건설은 AA13구역에선 직접 시공에 참여하지 않고 지분투자만 했다며 억울함을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이러한 상황에도 GS건설한 동일한 수준의 영업정지 처분을 내린 만큼, AA21구역에서 발생한 철근 누락의 책임소재에 따라 추가 제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주무 부처인 국토부와 LH는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LH 관계자는 "설계상 오류라는 점은 확인됐지만 정밀 안전진단이 아직 실시되지 않아 시공사의 책임소재에 대해서는 현재로써 예단하기 어렵다"라며 "안전진단을 통해 확인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제재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조사결과에 따라 다르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일차적으로 설계와 감리 회사의 책임이 크지만, 시공사인 동부건설의 대처 또한 안일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건설노조 한 관계자는 "외벽 철근 누락은 실로 엄청난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중대한 사건"이라며 "건설 현장에서 3~4년만 일해 본 현장 근로자들도 철근이 어디에 얼마나 들어가야 하는지는 대략 알고 있는 매우 기초적인 사실인데, 설계가 아닌 시공사라도 이를 모를리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철근 누락을 비롯한 부실공사에 대한 제제가 그간 느슨해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직접 시공한 현장에서 발생한 철근누락 건에 대해서 정부 차원의 제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동부건설 관계자는 "철근 누락 책임이 설계사에 있다고 결론이 난 것으로 알고있 다"며 "설계 관련해 동부건설이 직접 관여할 수 있는 부분은 없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