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의정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18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상황실에서 열린 중대본 회의에 참석해 정부 대응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312/art_17107399829045_39c183.jpg)
【 청년일보 】 의사 집단행동으로 인한 환자 피해 신고가 500건 넘게 접수된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의사 집단행동 피해 신고 지원센터 접수 현황과 처리 결과'를 발표했다.
센터는 이달 15일까지 상담한 총 1천414건의 사례중 509건은 피해 사례로 접수됐다. 신고된 피해 사례의 27.7%(141건)는 의료기관으로부터의 불이익을 우려해 익명으로 신고됐다.
총 509건의 피해신고 사례 중는 수술 지연이 68.8%(350건)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진료 취소 88건, 진료 거절 48건, 입원 지연 23건 등이었다. 진료과목별로는 외과, 정형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등 외과 계열이 전체의 38.7%(197건)로 가장 많았다.
중대본은 "정부는 접수된 피해 사례를 지방자치단체로 연계해 현장 점검과 행정지도를 실시하고 현장 조사가 필요한 사항은 즉각 대응팀으로 연계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11개 시도에서 104건의 피해 신고 사례에 대한 조치가 이뤄졌다. 구체적으로는 수술과 입원 조치 15건, 수술 일정 예약 4건, 진료 거부나 설명 의무 위반 등에 대한 행정지도 85건 등이다. 신고자의 희망에 따라 174건에 대한 법률 상담도 지원했다. 주요 내용은 수술 지연에 따른 검사 비용 보상 56건, 질병 악화 우려 37건, 의료과실 의심 14건, 소득 활동 차질 7건 등이다.
한편, 사태 초반과 비교하면 피해 신고는 감소 추세다. 센터 운영 첫 주인 지난달 19∼23일에는 피해 신고가 일평균 45.4건 접수됐으나, 이달 11∼15일엔 13건으로 감소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