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GDP 성장이 둔화하고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오르며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417/art_17140898048665_3f4be9.jpg)
【 청년일보 】 미국에서 물가상승과 경기침체 현상이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연율 1.6%로 집계됐다고 25일(현지 시간) 밝혔다.
지난해 4분기(3.4%)와 비교하면 성장률이 절반으로 크게 둔화했으며, 전문가들의 1분기 전망치(2.4%)보다 한참 낮았다. 또 이는 2022년 2분기 성장률(-0.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상무부는 1분기 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보다 둔화한 이유로 개인소비와 수출, 주(州) 정부와 지역 정부의 지출 증가세가 감소했고, 연방정부의 지출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물가는 큰 폭으로 올랐다.
1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3.4% 증가하며 지난해 4분기의 1.8%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1분기 4.2% 증가 이후 가장 큰 상승이다.
특히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가 1분기에 3.7% 증가했는데 이는 전문가들이 예상한 3.4%보다 높다.
연준이 물가 목표 달성을 판단할 때 준거로 삼는 근원 PCE 가격지수의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증가율은 각각 2.0%이다.
뉴욕타임스(NYT)는 연준이 물가를 잡으려는 상황에서 경제성장률 둔화를 꼭 우려할 필요는 없지만, 고금리가 물가를 낮추지 못하고 경제활동만 위축시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고 보도했다.
경제분석업체 매크로폴리시 퍼스펙티브의 경제학자인 콘스턴스 헌터는 NYT 인터뷰에서 "경기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커진다"며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뜻밖이었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