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9.0℃
  • 맑음강릉 28.5℃
  • 구름조금서울 29.6℃
  • 구름조금대전 29.0℃
  • 구름많음대구 28.7℃
  • 구름많음울산 27.0℃
  • 구름조금광주 28.9℃
  • 구름많음부산 26.5℃
  • 맑음고창 29.0℃
  • 구름많음제주 25.1℃
  • 맑음강화 27.2℃
  • 구름조금보은 28.3℃
  • 구름조금금산 28.2℃
  • 구름많음강진군 28.5℃
  • 구름많음경주시 29.5℃
  • 흐림거제 26.3℃
기상청 제공

北, '군사정찰위성' 발사했지만 '실패'…"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

한중일 협력 저해 의도…정상회담 열린 27일 발사

 

【 청년일보 】 북한이 지난 27일 밤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합동참모본부(이하 합참)는 이날 밤 10시 44분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서해 남쪽으로 발사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발사 후 10시 46분경 북한 측 해상에서 다수의 파편이 탐지되었으며, 공중 폭발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한미 정보당국이 긴밀히 공조하여 세부적으로 분석 중이다.


북한 관영 매체 조선중앙통신도 28일 발사 실패를 인정하며, 신형 로켓 1단이 비행 중 공중에서 폭발했다고 보도했다. 발사 후 약 1시간 30분 만에 북한은 실패를 공식화했다.


북한은 지난 27일 새벽 일본 정부에 내달 4일 0시까지 인공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발사할 것이라고 통보했다. 이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린 당일로, 북한은 예고기간 첫 날에 정찰위성 발사를 감행한 것이다. 이는 한중일 협력 분위기를 저해하고, 한일과 중국 사이를 갈라치기 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또한, 북한의 이번 행동은 대북 제재에 단호한 한미일과 이에 미온적인 중·러 간의 대치선을 분명히 하려는 시도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21일 처음으로 군사정찰위성을 궤도에 올렸다.


지난해 5월 31일과 8월 24일 발사 시도는 각각 로켓 추진체 문제로 실패했다. 이번 발사는 약 6개월 만의 추가 시도였으나, 또다시 실패로 끝났다. 북한은 올해 정찰위성 3기를 추가로 발사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첫 시도에서 실패를 맛봤다.


합참은 "우리 군은 미측과 긴밀히 공조하여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준비 활동을 추적해왔으며, 한미일 이지스 구축함을 국가별 지정 해역에 사전 전개시켜 경보 정보 공유 체계를 가동하는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었다"고 밝혔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일체 행위를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위반으로 명백한 도발행위다.


합참은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 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을 예의주시하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