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3.4℃
  • 흐림강릉 21.2℃
  • 흐림서울 23.9℃
  • 대전 23.2℃
  • 대구 23.8℃
  • 울산 23.6℃
  • 구름많음광주 24.0℃
  • 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4.3℃
  • 흐림제주 28.1℃
  • 구름많음강화 23.5℃
  • 흐림보은 22.5℃
  • 흐림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5℃
  • 흐림거제 23.3℃
기상청 제공

30년 뒤 저출생·고령화에 매년 인구 1%씩 감소…100년 뒤엔 2천만명 하회

30년 뒤 시도별 사망자, 출생아의 최대 6배에 달해

 

【 청년일보 】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 30년 후 우리나라 인구는 매년 1%씩 감소해 약 100년 후에는 2천만명 이하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6일 통계청은 2022년 인구총조사를 기반으로 최근 출생, 사망, 인구이동 추이를 반영해 장래 인구추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54년 전국 인구는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년 대비 1.0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구성장률은 2022년 -0.19%에서 시작해 2034년 -0.20%, 2038년 -0.30%, 2041년 -0.42%, 2044년 -0.53% 등으로 점차 감소 폭이 커진다. 특히, 2046년 -0.62%, 2052년 -0.92%에서 2054년 -1.03%로 감소율이 처음으로 1%를 넘어서게 된다. 이는 30년 후부터 매년 인구가 전년보다 1% 이상 줄어든다는 의미다.


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은 저출생과 고령화에 있다.


시도별로 보면 모든 지역에서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가 급증하면서 인구 자연 감소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됐다. 예를 들어, 경북은 2022년 출생아 수가 1만1천명, 사망자 수가 2만6천명으로 인구가 1만5천명 자연 감소했다. 30년 후인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7천명, 사망자 수가 4만4천명으로 인구가 3만7천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사망자 수는 출생아 수의 6.3배에 달한다.


자연 증가율도 경북이 2022년 -0.57%에서 2052년 -1.71%로 가장 큰 감소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다. 경기의 경우 2022년 출생아 수가 7만4천명, 사망자 수가 7만8천명으로 자연 감소 규모가 4천명에 불과했으나, 2052년에는 출생아 수가 6만2천명, 사망자 수가 18만6천명으로 인구가 12만4천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의 인구 자연 감소 규모는 30년 후에 31배로 커지는 셈이다.


2022년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출생아 수(3천명)가 사망자 수(2천명)를 웃돌았던 세종도 2045년부터는 인구가 자연 감소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및 국제 이동을 고려한 인구성장률을 살펴보면, 2039년 경기에서 -0.01%를 기록하면서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로 전환된다. 2052년 기준 인구 감소율이 가장 큰 지역은 울산으로 -1.54%로 예상됐다.


세종은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았지만, 인구 유입으로 인해 2052년에는 인구가 0.3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이는 2022년 인구성장률(5.20%)과 비교하면 크게 둔화된 수치다.


현재의 저출생·고령화 추세가 계속된다면 모든 시도가 '인구 소멸'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는 의미다.


통계청의 2052∼2122년 시도별 장기 추계에 따르면, 약 100년 후인 2122년 중위 추계 기준으로 전국 인구는 1천 936만명으로 2천만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됐다. 세종은 2052년 54만명에서 2122년 28만명으로 감소하고, 2052년 1천381만명으로 유일하게 1천만명을 넘었던 경기는 2122년 603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