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맑음동두천 20.8℃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2.7℃
  • 맑음대전 22.3℃
  • 맑음대구 21.9℃
  • 구름조금울산 19.1℃
  • 구름조금광주 22.3℃
  • 구름많음부산 21.1℃
  • 구름조금고창 19.5℃
  • 구름조금제주 22.0℃
  • 맑음강화 19.6℃
  • 맑음보은 19.0℃
  • 구름조금금산 19.6℃
  • 구름많음강진군 18.4℃
  • 구름조금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7.3℃
기상청 제공

"서울만 늘었다"…4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 6.2%↓

4월 한달 간 발생한 부동산 매매거래량 전월比 3.1%↓
서울 아파트 거래량 '나홀로' 상승…충북 감소폭 '최대'

 

【 청년일보 】 4월 전국 부동산 매매시장은 전월 대비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에서 소폭 하락했다. 


특히 아파트 거래량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을 제외하고 일제히 감소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전국에서 4월 한달 간 발생한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총 9만4천585건으로 3월(9만7천642건) 보다 3.1%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금액은 31조5천369억원에서 4.1% 감소한 30조2천426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한 모습이나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거래량은 2.9%(9만1천919건), 거래금액은 6%(28조5천387억원) 오른 수준이다.


각 유형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오피스텔(12.1%), 아파트(6.2%), 연립·다세대(6%), 상가·사무실(3%), 상업·업무용 빌딩(0.1%) 등 5개 유형에서 감소 추이가 확인됐다. 


반면 공장·창고 등(집합)은 3월 대비 10.7% 오르며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으며 이어 공장·창고 등(일반)이 5.5%, 단독·다가구가 0.9%, 토지 유형이 0.4% 늘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상업·업무용 빌딩이 34.5%로 가장 크게 하락했으며 다음으로 상가·사무실이 33.5% 줄었다. 이어 오피스텔 9.9%, 연립·다세대 3.4%, 아파트 0.8% 순으로 떨어졌다. 


거래량이 오른 공장·창고 등(집합)(67%), 공장·창고 등(일반)(23.7%), 토지(9.4%), 단독·다가구(3.8%)는 거래금액 부분에서도 상승 기조를 보였다.

 

또한 4월 아파트 거래건수는 3만7천13건으로 직전월 3만9천467건과 비교시 6.2% 하락했다. 거래금액은 16조1천613억원으로 전월 16조2천861억원에 비해 0.8% 하락했다. 해당 지표는 전년 동월(3만3천282건, 13조4천993억원) 대비해서는 11.2%, 19.7% 상승한 수치다.


시도별 거래량을 살펴보면 직전월 대비 4.3% 오른 서울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충북의 4월 아파트 거래량이 1천498건으로 17.6% 감소하며 전국에서 가장 크게 줄었고 이어 경북(15%, 1917건), 충남(14.6%. 1972건), 전북(13%, 1592건), 광주(11.5%, 1231건) 순으로 하락 추이를 보였다.


거래금액도 전국 17개 시도 중 12개 지역이 줄어들었다. 충북이 18.2% 하락한 3천118억원으로 높은 감소율을 보였고 충남(17%, 3천858억원), 경북(16.1%, 3천444억원), 전북(14.4%, 3천363억원), 울산(10.2%, 3천135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전월 대비 거래금액이 오른 지역의 경우에는 서울 포함 5곳으로 제주가 7.7%로 가장 크게 상승했으며 다음으로 서울(7.6%), 대구(1.3%), 부산(1%), 경기(0.2%)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1월부터 2개월 연속 상승 곡선을 그린 상가·사무실 거래량과 거래금액도 동반 하락했다. 4월 거래량은 3천356건으로 3월(3천461건)에 비해 3% 줄어들었다. 이는 작년 4월 거래량(3천572건)과 비교해서도 6% 감소한 수치다. 


거래금액은 더 큰 폭으로 줄어 1조1천172억원을 기록하며 직전월(1조6천798억원) 대비 33.5% 하락했다. 전년 동월(1조7천401억원)과 비교해도 35.8%나 떨어진 모습이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4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최근 1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던 3월 대비 소폭 감소하며 숨고르기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연내 금리 인하 기대와 글로벌 경제위기 완화 기대감 등은 하반기 시장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전망이나 지역별, 상품별로 차별화된 시장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 선별적인 투자 전략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전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