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은 "대중 수출, 과거와 같은 호조 기대 어려워…기술혁신 필수"

한은 '공급망 연계성을 고려한 대중 수출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
한은 "미국 관세 인상시, 대중 수출·수출연계생산 6% 감소 추정"

 

【 청년일보 】 한국은행(이하 한은)은 대(對)중국 수출의 생산구조 변화로 인해 과거와 같은 수출 호조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26일 '공급망 연계성을 고려한 대중 수출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대중 수출과 관련된 생산 흐름을 분석한 결과, 중국 시장에서의 변화가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대중 수출연계생산은 중국의 생산 활동이 한국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지표로, 중국에서 최종 생산에 사용될 목적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중간재의 모든 단계의 중간재를 포괄한다.


이 지표는 지난 2000년 이후 매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1.3%, 2010년 이후로는 0.9%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그러나 지난 2010년 이후 대중 수출연계생산의 증가율(0.9%)을 분석해보면, 생산구조 변화로 인해 감소한 효과(-0.7%)를 수요 증가 효과(+1.6%)가 상쇄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연계생산에 대한 생산구조 변화의 기여도는 이미 2006년부터 마이너스(-)로 떨어진 상태였다. 중국 중간재 자립도 상승, 생산기지 동남아 이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다.


한편, 한국의 주요 대중 수출 산업 중 하나였던 섬유·의복(1990년대 후반), 화학·철강(2000년대), 석유제품(2010년대) 등의 산업에서 이어 최근 정보기술(IT) 산업 또한 구조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중 통상 갈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변화도 변수로 꼽혔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대로 미국이 관세를 인상할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과 수출연계생산이 6%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생산구조 변화로 인해 하방 리스크가 지속되고 있어, 과거와 같은 대중 수출 호조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중국이 첨단기술 분야에서 자립도를 높여가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기술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