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936/art_17253541013009_b2a920.jpg)
【 청년일보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의 물가 동향과 관련해 "물가 안정 측면에서는 기준금리 인하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시기가 됐다"고 밝혔다.
다만, 이 총재는 "금융안정 등을 봐서 어떻게 움직일지 적절한 타이밍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3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년 G20 세계경제와 금융안정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통계청이 같은 날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54(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이는 2021년 3월 이후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완벽하게는 아니지만, 현재 예상으로는 큰 공급충격이 없으면 앞으로 수개월 동안은 현 수준에서 조금씩 왔다갔다할 것"이라며 물가 안정의 경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같은 날 오전 열린 물가상황 점검회의에서 "물가상승률은 큰 공급 충격이 없다면 당분간 현재와 비슷한 수준에서 안정된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근원물가가 안정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해 유가·농산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하면서 2%로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김 부총재보는 "그동안 고물가로 국민의 고통이 컸지만, 디스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 둔화)이 빠르게 진전되면서 주요 선진국에 비해 물가가 빠르게 안정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은행의 선제적 금리 인상 등 적극적 통화정책,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및 건전재정 기조 등이 기여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