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1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3.50%인 기준금리를 3.25%로 0.25%포인트(p) 인하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을 마지막으로 2월부터 올해 8월까지 13회 연속 기준금리를 3.5%로 묶었다. 이날 금통위가 피벗(통화정책 전환)에 나서면서 2021년 8월 0.25%포인트 인상과 함께 시작된 통화 긴축 기조를 3년 2개월 만에 마무리하게 됐다.
이는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2%)에 안착했고, 민간 소비 등 내수 부진에 따른 성장률 하락 우려가 커지는 것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5(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1.6% 올라 2021년 3월(1.9%) 이후 3년 6개월 만의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 우려는 커졌다. 지난 8월 한은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로 0.1%포인트 내린 데 이어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성장률 전망치를 0.1%포인트 낮춰잡았다. 금리를 낮춰 경기를 부양할 이유가 늘었다는 의미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1.6%로 한은 목표치(2%)를 밑돌기 시작해 긍정적"이라며 "하지만 경기의 경우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율까지 앞으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하방 압력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로 추가 금리 인하 여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서다. 시장에선 한은이 내년 상반기까지 0.25%포인트씩 세 차례, 총 0.75%포인트 정도 금리를 낮출 것으로 예상한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가 체감 경기나 소비에 도움이 되려면 채권 등 시장금리와 대출금리가 낮아져야 한다”며 “이미 시장금리는 1~2회 기준금리 인하를 가정해서 낮아진 상태인데 가계대출 억제 정책을 이유로 은행 등 금융기관이 가산금리를 계속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