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2.8℃
  • 구름조금강릉 5.0℃
  • 박무서울 6.2℃
  • 대전 7.2℃
  • 구름조금대구 4.2℃
  • 맑음울산 3.5℃
  • 박무광주 6.2℃
  • 맑음부산 6.6℃
  • 맑음고창 1.2℃
  • 구름많음제주 6.9℃
  • 맑음강화 3.4℃
  • 구름많음보은 3.0℃
  • 흐림금산 7.0℃
  • 맑음강진군 2.5℃
  • 맑음경주시 0.9℃
  • 맑음거제 4.8℃
기상청 제공

지난해 기업 이자보상율 '역대 최저'…매출·영업익도 '최악'

이자보상비율, 2022년 348.6%에서 191.1%로 '급감'
매출액 증가율 -1.5%·영업이익률 3.5%…'역대 최저'

 

【 청년일보 】 고금리 기조 속에서 대기업을 포함한 여러 업종의 실적이 부진으로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면서 이자보상비율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아울러 매출액 증가율과 영업이익률 등 주요 지표도 사상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연간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비금융 영리법인 93만5천597개의 이자보상비율은 191.1%로 집계됐다.


이는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2022년 348.6%에서 157.5%포인트(p) 급감한 수치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 즉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충당하지 못하는 기업의 비중은 42.3%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이자보상비율이 500% 이상인 기업의 비중은 2022년 34.2%에서 2023년 30.5%로 감소했다.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대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강영관 한국은행 기업통계팀장은 "주요 대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이자보상비율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이자보상비율 하락 폭이 크지 않아 취약 기업 비중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수익성의 또 다른 지표인 수정 영업자산이익률 역시 2022년 3.8%에서 2023년 1.8%로 급격히 하락했다. 수정 영업자산이익률은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영업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이자비용이 0인 경우에도 산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지난해 수정 영업자산이익률이 0% 미만인 기업 비중은 47.8%로, 전년(47.4%)보다 소폭 증가했다.


기업들의 성장성 또한 급격히 악화됐다. 지난해 매출액 증가율은 2022년 15.1%에서 -1.5%로 마이너스 전환해, 201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제조업에서는 전자·영상·통신장비(-14.5%)와 코크스·석유정제(-13.8%) 업종의 매출액 감소가 두드러졌다. 비제조업 역시 도소매업(-2.1%)과 운수·창고업(-9.0%) 등의 부진으로 매출액이 0.9% 줄었다.


수익성 측면에서 영업이익률은 2022년 4.5%에서 2023년 3.5%로 하락해, 역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제조업의 영업이익률은 3.3%로 전년 대비 2.4%포인트 감소했으며, 특히 전자·영상·통신장비 업종은 -3.0%로 급락했다. 반면, 비제조업은 전기가스업의 개선 덕분에 영업이익률이 소폭 상승했다.


기업들의 안정성 지표는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부채비율은 2022년 122.3%에서 120.8%로 소폭 하락했으나, 차입금 의존도는 31.4%로 전년(31.3%)보다 소폭 증가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