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자산 규모가 국내 도입된 지 23년 만에 100조원을 돌파했다.
8일 리츠정보시스템에 따르면 11월 현재 국내 리츠 개수는 395개, 자산은 100조7천200억원으로 집계됐다.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상업용빌딩이나 호텔, 물류센터, 주택 등 부동산에 투자한 뒤 수익을 배당하는 회사인 리츠는 2001년 국내 처음 도입됐다.
2002년 6천억원 수준이었던 리츠의 자산 규모는 2012년까지도 10조원에 못 미쳤다. 하지만 2020년 61조3천100억원, 2021년 75조5천600억원, 2022년 87조6천600억원, 2023년 93조8천700억원 등으로 최근 몇 년 새 가파르게 불어났다.
운용 리츠 수도 2002년 4개에서 올해 395개로 늘어났다.
리츠는 크게 3가지로 나뉘며 자산의 투자 및 운용을 자산관리회사에 위탁하는 위탁관리리츠가 376개로 가장 많다.
투자 대상이 기업구조조정용 부동산에 한정하는 기업구조조정리츠(CR리츠)가 15개,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두고 직접 투자와 운용을 수행하는 자기관리리츠 4개 등이다.
위탁관리리츠와 기업구조조정리츠는 당기순이익의 90% 이상을 의무 배당해야 한다.
리츠는 국토교통부 영업 인가와 관리·감독받아야 해 투자자 입장에선 수익성과 투명성이 보장되는 장점이 있다.
한국리츠협회는 내년도 리츠 자산 목표액을 150조원으로 잡고 있다.
정부가 최근 리츠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활성화 정책을 잇달아 내놓은 데다 금리 인하 추세 등을 고려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리츠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인가와 공시·보고 의무 최소화 ▲공모 리츠 인수합병(M&A) 허용 ▲월 배당 허용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리츠는 금리가 내려가면 조달 비용이 줄어 이익이 늘어나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배당이 늘어난다. 따라서 앞으로 금리 인하가 지속되면 리츠의 상대적인 투자 매력이 부각될 전망이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